작년보다 피해면적 250% 증가
경기·강원 지역에서 많이 발생
산림청, 산불대응체계 강화
무인감시카메라 더 늘리고
야간 진화 가능한 헬기 확충
[ 임호범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706/2017062235041_AA.14151214.1.jpg)
지난 6일 강원 강릉시와 삼척시, 경북 상주시 등 세 곳에서 동시 다발한 산불이 애써 가꾼 숲 1103㏊를 잿더미로 만들었다. 산림피해 면적은 삼척 765㏊, 강릉 252㏊, 상주 86㏊였다. 피해 금액은 입목피해 117억8700만원과 임산물 피해 1억2500만원 등 모두 119억2100만원에 달했다. 주택 36가구가 불에 타 81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인명 피해(사망 2명, 부상 6명)도 났다. 피해면적 100㏊ 이상이면 대형 산불로 분류한다. 6일 발생한 삼척, 강릉 산불도 대형 산불에 속했다. 대형 산불이 2013년 울산 울주군 280㏊ 소실 이후 4년 만에 발생한 것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산불 494건이 발생해 산림 1281㏊가 소실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21건, 363㏊보다 건수는 54%, 피해 면적은 253% 증가한 것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올해 봄 산불은 고온·건조한 날씨가 지속하고 영동지방 강풍 특보 등의 기상요인, 휴일 증가 등으로 예년보다 발생 건수와 피해 면적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산불 발생 원인은 입산자 실화(157건, 32%), 쓰레기 소각(82건, 16%), 논·밭두렁 소각(81건, 16%)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건조특보가 많았던 경기(139건)와 강원(83건)이 전체 산불 건수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피해 면적은 강원(1104㏊)과 경북(105㏊)이 94%를 점유했다. 피해 규모별로는 1㏊ 미만 465건(94%), 1~5㏊ 미만 25건(5%)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30㏊ 이상 산불은 모두 4건(1%)이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706/2017062235041_AA.14163500.1.jpg)
대형 산불 3건을 포함해 산불 15건이 동시 다발했을 때 적정 진화헬기 대수는 90대다. 하지만 현재 진화헬기는 산림청 33대, 지방자치단체 15대, 군·소방 등 유관기관 14대 등 62대에 머물고 있다.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났을 때 초동진화를 강화할 수 있도록 군과 소방 등 유관기관 헬기를 신속히 동원할 수 있는 지휘체계도 구축했다. 산불감시원, 산불예방진화대 등을 확대하고 주요 등산로 입구 등에 밀착감시형 산불 무인감시카메라를 늘려 입산자 계도·홍보와 가해자 검거에 활용할 계획이다.
산불예방진화대는 진화 출동과 함께 인화물질 사전 제거 등 산림 인접지 예방사업을 강화하고, 산림 바이오매스 수집단은 산불 확산 요인으로 지적된 산림 내 목재 부산물을 제거해 재활용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리적·기후적 영향으로 봄철 대형 산불 위험이 큰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에 산림청과 지자체 임차헬기를 추가 배치하고, 동해안 산불방지 통합지휘본부를 설치한다. 국민안전처와 협의해 산불 재난 문자 발송주체를 지자체로 일원화하고 산불 발생, 대피 권고, 대피 명령 등 단계별로 발송 기준을 명확히 해 재난 정보가 신속히 전달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이번 산불을 교훈 삼아 미흡했던 산불대응체계를 개선하고 재난성 대형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겠다”며 “국민도 우리의 소중한 산림을 지킬 수 있도록 산불 예방에 적극적으로 동참해달라”고 강조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