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뚝과 웨지 일직선으로 그립도 퍼팅할 때처럼…
공은 살짝 오른쪽에 둬야 짧은 거리·내리막서 효과
[ 이관우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706/2017060810961_AA.14071076.1.jpg)
이런 경우 좋은 해법이 ‘웨지 퍼팅’이다. 웨지를 퍼터처럼 쓰는 것이다. 거리 조절에 실패할 확률이 확실히 줄어든다.
그립을 잡은 손목을 펴 팔과 웨지를 일직선에 두는 게 시작이다. 팔과 웨지가 하나로 연결된 롱퍼터가 되는 셈이다. 이 때문에 그립도 퍼팅할 때 쓰는 ‘리버스 오버래핑’ 그립으로 잡는다. 손목 움직임을 억제하고 웨지를 시계추 운동(진자 운동) 방식으로 스트로크하기 위해서다. 양발의 어드레스도 퍼팅할 때와 같다. 다음 단계가 공의 위치 조정이다. 공을 가운데보다 약간 오른쪽에 놓는다. 웨지의 클럽 페이스(리딩 에지)가 잔디가 아니라 공부터 때리게 하기 위해서다. 공의 구름도 좋아진다.
그다음 동작이 클럽 헤드의 힐을 살짝 들어주고, 헤드는 반대로 약간 닫아(closed face)주는 보정작업이다. 최송이 프로는 “공을 정중앙에서 오른쪽에 놓기 때문에 클럽을 닫아줘야 실제 임팩트 때는 공과 클럽페이스가 직각으로 만난다”고 설명했다. 공을 양발 정중앙 앞에 놓는 게 편한 골퍼는 클럽 헤드를 닫을 필요가 없다.
나머지 스트로크는 퍼팅과 같다. 헤드 무게를 느끼면서 시계추처럼 스트로크하는 게 요령이다. 로프트각이 4도 안팎인 퍼터는 공이 지면에 닿을 듯 말 듯 미세하게 떠서 출발한다. 하지만 웨지는 높은 로프트각 때문에 공이 잔디를 건드리지 않고 1~3m가량 떠서 날아간 뒤 그린에 떨어져 구른다. 송 프로는 “웨지 퍼팅은 공과 그린 에지의 간격이 짧거나 에지부터 홀컵까지가 가파른 내리막일 때 쓰는 방식”이라며 “방향성이 좋아 짧은 거리에서 파세이브를 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