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7.85

  • 36.61
  • 1.46%
코스닥

693.05

  • 16.04
  • 2.37%
1/3

(美경제학회③) 로봇 논란 '일자리 파괴 VS 고령화 사회 대안'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뉴욕=이심기 특파원) 다론 아제모을루. MIT대 경제학 교수로 세계에서 가장 각광받는 경제학자중 한 명입니다. 2005년에는 미국경제학회(AEA)가 40세 이하 젊은 경제학자중 경제 사상과 지식발전에 큰 기여를 한 석학에게 주는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수상했습니다.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2012)’라는 책으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성장 연구의 전문가입니다.

아제모을루 교수가 이번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경제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의 주제는 로봇입니다. 로봇의 등장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를 고령화 사회와 연관시켜 분석했습니다.

그는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겪는 국가에서 로봇을 통한 자동화가 두드러지게 이뤄지고 있다”며 “일본, 한국, 독일이 대표적인 증거”라고 지적했습니다. 고령화가 경제에 부담이 되고, 로봇이 많은 산업분야의 노동자를 대체하면서 실업을 초래하고 임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는 다른 접근입니다. 그는 자신의 연구가 현재 진행중이라는 전제하에 로봇이 고용과 임금을 줄이고, 일부 근로자를 대신하지만 동시에 다른 근로자를 보완하는 효과를 낸다고 분석했습니다.

아제모을루 교수가 국제로봇협회(IFR)의 통계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를 보면 로봇 한 대가 7개의 일자리를 대체하며, 1000명에 달하는 근로자의 임금을 1.6%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역을 통한 생산성 증대 효과를 고려하면 로봇 한 대당 6.5명의 인력대체효과가 발생하며, 근로자 1000명당 1.2%의 임금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효과의 대부분은 고교 중퇴 혹은 졸업자들이 취업한 저임금, 저기술 노동자가 종사하고 있는 산업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고등교육을 받은 근로자들이 종사하는 산업에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벌목, 가구, 기초금속, 섬유, 제지산업 등도 별다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중인 국가의 산업로봇 보급률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각 국가의 대응이 그만큼 빨리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인구의 감소와 이로 인한 경제성장의 둔화를 보완할 수 있는 순기능도 크다는 지적입니다.

미국의 포브스는 전 세계 17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993~2007년 사이에 로봇이 국내총생산(GDP) 증가분의 10%를,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15% 이상을 담당했다는 한 연구결과를 인용, 로봇에 대한 낙관주의가 가능하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숫자는 19세기 산업혁명을 일으킨 증기기관이 영국 노동 생산성 증가에 미친 영향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아마존이 2014년 보유한 로봇숫자는 1만5000대였으며 이 숫자는 2015년과 지난해에 각각 3만대와 4만5000대로 늘어났습니다. 이 기간동안 아마존의 2014년 15만4000명에서 2015년에는 23만명으로 늘었습니다.

일자리가 미래의 노동을 뺏을까요, 아니면 노동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보완재 역할을 할까요. 경제학자들에게도 어려운 과제입니다. 아마존은 최근 미국 전역에 설립키로 한 2000여곳의 무인 슈퍼마켓 ‘아마존 고’ 계획이 일자리 감소 논란에 휘말리자 이를 철회했습니다. 예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거론되는 아제모을로 교수의 연구결과는 어떤 결론을 내릴까요. 참고로 아제모을로 교수가 발표한 세션의 제목은 성장과 복지였습니다. (끝) / sgle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