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철 부회장, 송상현 대표 체제 전환 후 투자금 회수 속도
내년 전진중공업 투자원금 회수, 리노스 등 매각 성공 기대감 높아
이 기사는 12월22일(15:0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KTB프라이빗에쿼티(PE)가 새 경영진 체제 하에서 오랜 숙제였던 투자금 회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동부익스프레스 매각에 성공한 데 이어 전진중공업, 리노스 등의 포트폴리오에서도 추가 자금 회수가 기대되고 있다. 동부익스프레스를 포함해 내년 상반기까지 약 5000억원 가량의 투자금을 회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TB PE는 지분 97.4%를 보유하고 있는 콘크리트펌프카 업체 전진중공업으로부터 내년 초 약 100억원의 배당을 받기로 최근 결정했다. 2009년 전진중공업에 920억원을 투자한 KTB PE는 지금까지 전진중공업 배당 및 자회사 지분매각을 통해 이미 789억원을 회수한 상태다. 추가 100억원을 배당받을 경우 회수자금은 889억원으로 전진중공업의 초기 투자금 95%를 회수하게 된다. 전진중공업 기업가치가 감가상각전영업이익 기준으로 최소 2000억원 이상이 예상돼, 내년 매각 및 기업공개(IPO) 등의 작업에 성공할 경우 전액이 투자차익으로 남을 전망이다.
2011년 377억원을 투자한 리노스 역시 최근 공개매각 작업에 돌입했다. 내년 초 예비입찰을 진행한 뒤 상반기까지 새주인을 찾을 전망이다. 리노스 역시 기업가치가 상승해 적어도 200억원 이상의 차익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TB PE의 가장 큰 성과는 최근 주식매매계약(SPA)이 체결된 동부익스프레스 매각이었다. 2014년 3100억원을 투자해 SPA 체결 기준으로 1000억원 이상의 차익을 올렸다.
업계에서는 투자원금을 포함해 내년 상반기까지 변수가 없다면 KTB PE가 약 5000억원대의 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KTB PE는 그동안 동부익스프레스, 전진중공업 등의 포트폴리오 기업들은 실적이 크게 개선됐음에도 매각작업에는 번번이 실패했다. 매수자와의 가격협상에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것이원인이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12/201612238076u_01.13035450.1.jpg)
7월에는 이병철 KTB투자증권 부회장이 부임하면서 KTB PE는 보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새 경영진 체제 하에서 KTB PE는 우선 외부 컨설팅을 통해 조직개편을 진행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작업에 착수했다. 펀드 관리 강화를 위해 운용중인 펀드도 10개에서 5개로 축소하기로 했다. 동부익스프레스 등의 자산매각에 속도를 낼 수 있었던 이유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동부익스프레스 매각에서 동원그룹에 바로 우선협상자 지위를 부여하고 실사권을 부여한 것이 결과적으로 ‘빠른매각’과 ‘적정가격’을 모두 잡을 수 있었던 원인이 됐다”며 “앞서 진행한 조직개편 등으로 의사결정이 빨라진 점이 최근 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김태호 기자 highkick@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