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명당 300명 아래로
갑상샘암 > 위암 > 대장암 순
[ 이지현 기자 ]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년 암 발생률·생존율·유병률 현황’을 발표했다. 2014년 신규 암 환자는 21만7057명으로 전년도 22만7188명에 비해 4.5% 줄었다. 환자가 가장 많은 암은 갑상샘암이었고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이 뒤를 이었다.
암 발생률은 2012년 이후 3년 연속 줄었다. 2011년 인구 10만명당 324.9명으로 정점을 찍은 암 발생률은 2012년 323.3명, 2013년 314.1명, 2014년 289.1명으로 꾸준히 줄었다. 암 발생률이 인구 10만명당 300명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암 발생률이 가장 크게 줄어든 것은 갑상샘암이다. 국가 암 검진에 포함된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등도 발생률이 줄었다. 이강현 국립암센터원장은 “과잉 진단 논란이 있는 갑상샘암 진단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한국인이 기대수명인 82세까지 살 때 암에 걸릴 확률은 36.2%로 집계됐다. 남성은 5명 중 2명이, 여성은 3명 중 1명이 암에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2010~2014년 암에 걸린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3%로 2001~2005년 53.9%보다 16.4%포인트 높아졌다.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미국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