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94.59

  • 40.11
  • 1.63%
코스닥

690.42

  • 14.58
  • 2.16%
1/3

[한경 미디어 뉴스룸-한경BUSINESS] '지갑 없는 세상' 불붙는 페이전쟁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모바일 결제 2년새 5배 급증
한국, 카카오·네이버·삼성 '3파전'

카카오, 메신저 플랫폼 사업 강점
네이버, 온라인쇼핑 제휴 확장
삼성, 오프라인 결제시장 주도



[ 이정흔 기자 ] 약 30조원의 매출(1800억위안)로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의 광군제(11월11일) 기간 중 총 결제액의 82%는 모바일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쇼핑의 대세가 ‘모바일’로 넘어갔다는 것을 강력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2013년 1분기를 기준으로 1조1270억원에 불과하던 모바일 결제 금액은 2015년 2분기 5조7200억원으로 성장했다. 2년 새 5배나 뛰어올랐다. 빠르게 성장하는 국내 모바일 결제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페이 전쟁’이 불붙고 있다.

◆온라인은 네이버, 오프라인은 삼성 ‘주도’

다음카카오의 카카오페이(2014년 9월 출시), 네이버의 네이버페이(2015년 6월), 삼성전자의 삼성페이(2016년 4월) 등 2013년 이후 쏟아져나온 ‘페이’ 서비스만 해도 20개가 넘는다. LG전자도 내년 4월 ‘LG페이’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해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시장에서 확실한 승자는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가입자 수나 거래액 등을 따졌을 때 어느 정도 안정권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할 만한 업체는 불과 세 곳 정도다. 삼성페이·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다.

가장 먼저 포문을 연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 메신저 플랫폼을 기반으로 현재 국내 가입자 수 1300만명을 확보하고 있다. 출시 2년 만인 지난해 10월 누적 결제액 1조원을 돌파했다. 가장 강력한 경쟁자랄 수 있는 네이버페이의 회원은 2100만명으로 집계된다.

누적 결제액은 지난 9월을 기준으로 3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이에 비해 삼성페이는 국내 가입자 500만명, 8월을 기준으로 누적 결제액은 2조원에 달한다. 그중 온라인 결제 금액은 5000억원 정도다.

여기까지만 놓고 보면 적어도 온라인 시장에서의 승기는 네이버페이가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네이버페이는 다른 서비스에 비해 가입자를 빠르게 늘려가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게 사실이다. ‘네이버쇼핑’이라는 쇼핑 플랫폼을 끼고 있기 때문이다. 쇼핑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도 최근 들어 오프라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페이는 4월 신한카드와 손잡고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를 선보이고 오프라인 제휴사를 확대 중이며, 카카오페이도 비슷한 시기에 신한·하나카드 등과 손잡고 ‘카카오페이 체크카드’ 등을 선보였다.

◆최후의 승부처는 ‘O2O 서비스’

페이 전쟁의 2차전은 O2O 서비스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음식 주문, 택시 호출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단순한 결제 서비스를 넘어 ‘플랫폼’을 지향하는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AI) 등과 결합한다면 쇼핑 추천에서부터 검색·결제·쇼핑 이후의 만족도 관리까지 쇼핑과 관련한 모든 영역에 걸쳐 큰 변화가 예상된다.

O2O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삼성페이 등의 물밑 싸움은 우열을 가리기 힘들 만큼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가장 발 빠르게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곳은 카카오페이다. 국내 메신저 플랫폼의 절대 강자랄 수 있는 ‘카카오톡’을 기본 플랫폼으로 깔고 있어 가능한 일이다. 배달 앱(응용프로그램), 인터넷 서점, 극장 등 다양한 O2O 서비스에 카카오페이를 도입하고 있다. 2월부터 청구서 서비스 등을 하고 있다.

네이버페이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O2O와 디지털 콘텐츠로의 확장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페이를 통해 미리 음식점이나 공연을 예약하고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삼성페이는 11월16일부터 ‘페이플래너’ 서비스를 추가했다. 소비자들의 온·오프라인 결제 및 지출 현황을 종합 분석해 소비 습관을 관리해주는 이른바 ‘모바일 가계부’다. 소비자는 이를 통해 자신의 월 예산 대비 총 사용 금액 등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이정흔 한경비즈니스 기자 vivajh@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