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3

[제로에너지빌딩] 제로에너지빌딩 확산 위해 정책·금융 혜택 늘려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김광우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최승욱 기자 ] 지난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체결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모든 국가는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섭씨)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온실가스 배출감축 의무를 지게 됐다. 기존 교토의정서는 선진국들만이 온실가스를 반드시 줄여야했지만 이번 협약에서는 196개 당사국 모두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대상국이 됐다. 우리나라도 2030년 배출전망치 대비 37%를 줄이기로 했다. 스위스는 1990년 대비 2030년 50% 감축, 영국은 1990년 대비 2050년까지 80% 감축하기로 약속했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의 약 21%를 차지하는 건물부문 감축계획을 보면 주거용 건물은 2009년 대비 2012년부터 50% 절약이 가능한 로 에너지(low-energy) 하우스 수준, 2017년부터 90% 절약이 가능한 패시브하우스 수준, 2025년 제로에너지하우스 수준의 건축을 목표로 한다. 비주거용 건물의 경우 2017년부터 30% 절약 수준, 2025년 60% 절약 수준의 감축 계획을 추진 중이다.

제로에너지빌딩을 구현하려면 단열, 창호, 유리, 차양, 기밀 등 건물 외피 고도화, 가전· IT 및 설비기기의 고오꽂? 신재생에너지 활용의 최적화를 위한 자재, 부품 및 제품화 기술뿐 아니라 건물의 특성과 기후까지를 고려한 통합 시스템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제로에너지빌딩 확산을 위한 정책, 제도 및 금융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 업무 연관성이 높은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간의 융복합 없이 제로에너지빌딩의 현실화 및 보급화는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토부와 산업부가 경제적 제로에너지빌딩 모델 개발로 제로에너지빌딩 시장 창출을 유도하고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제로에너지빌딩 융합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킨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그간 제로에너지빌딩 융합얼라이언스는 정부와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전문가들이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기술을 4개 분과로 나눈 뒤 기술·정책·금융 등 분야별 협력체계 구축 및 융합 기술 연구개발, 제도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추진 전략 수립을 위해 노력해왔다.

제로에너지빌딩에 필요한 기술의 조속한 개발과 확산으로 관련 시장과 산업이 촉진되면 관련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미래 먹거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이 제로에너지빌딩에 대한 관심과 나아갈 방향을 공유하기를 기대한다.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