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성동구도 거래 급감
부산 296 대 1…신촌 74 대 1
분양 아파트엔 투자자 북적
[ 문혜정/설지연/조수영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2374361_AA.12722294.1.jpg)
기존 주택 시장과 분양시장이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 기존 아파트 시장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 위축과 가격 하락 움직임이 뚜렷하다. 반면 서울·수도권과 지방의 주요 지역 분양시장은 청약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중도금 대출 조이기에 들어간 데 이어 집값 급등지역에 대해 규제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서울 강남지역뿐만 아니라 마포·성동구 등 주요 강북 지역의 집값 상승세도 눈에 띄게 둔화됐다.
○관망세 짙어진 서울 주택시장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재건축 열기를 주도해온 강남구 개포동과 서초구 잠원동, 송파구 잠실동 등은 정부의 규제 방안 검토 소식에 일제히 ‘거래 휴지기’에 들어갔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2374361_AA.12722812.1.jpg)
7억9000만~8억원 선까지 올랐던 강동구의 둔촌주공1단지 전용 50㎡는 지난주부터 500만~1500만원 떨어졌지만 매수자들은 관망세로 돌아섰다. 잠원동 한신4지구 일대에서도 매매가 거의 사라졌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2374361_AA.12723317.1.jpg)
이 같은 분위기는 집값 상승률로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재건축 추진 아파트의 평균 가격상승률은 지난달부터 이달 초 매주 0.5~0.9%를 기록했지만, 10월 둘째주 0.42%, 지난주 0.1%로 크게 둔화되고 있다. 재건축을 추진하지 않는 일반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 주간 상승률도 둘째주 0.28%로 올 들어 정점을 찍은 뒤 지난주 0.27%로 소폭 낮아졌다.
○분양시장은 1순위 마감 행진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2374361_AA.12723318.1.jpg)
지난 주말 주요 모델하우스에도 인파가 몰렸다. 한미글로벌이 서울 서초구에 짓는 주상복합아파트와 오피스텔 복합단지 ‘방배마에스트로’의 모델하우스에는 젊은 실수요층과 임대 소득을 염두에 둔 중장년층의 발길이 이어졌다. ‘떴다방’(이동식 불법 중개소)도 대거 등장해 “당첨되면 분양권에 프리미엄을 잘 붙여 팔아주겠다”는 말을 건넸다. 경기 안산에선 ‘그랑시티자이 1차’(4293가구)가 분양된 지 2주 만에 대단지 ‘초지역 메이저타운 푸르지오’(4030가구)의 모델하우스가 문을 열었지만 4만여명의 예비청약자가 몰렸다.
문혜정/설지연/조수영/홍선표 기자 selenmoo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