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혁명가의 고뇌와 각성 그려
영화 '아귀레, 신의 분노' 에선
스페인 정복자의 광기 묘사영화로 떠나는 여행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1670461_AA.12678078.1.jpg)
만약 여러분이 한라산에 땀을 뻘뻘 흘리며 힘들게 올라갔는데, 그 꼭대기에 돌로 만들어진 엄청난 공중 도시가 있다면 어떤 기분이 들겠는가? 엽서에서 볼 때는 별것 아니겠지 생각했는데 막상 페루의 마추픽추를 실제로 대면하니 아니었다. 마추픽추 광경의 핵심에는 엽서에서 감지할 수 없는 ‘높이’라는 개념이 들어가 있었다. 밖에서는 절대 침투할 수 없는 해발 2430m(한라산은 1950m)에 잉카 문명의 찬란한 영광이 고스란히 숨겨져 있었다.
‘잉카의 영광’ 마추픽추
마추픽추는 케추아어로 올드 마운틴 즉 ‘늙은 산’이란 뜻이다. 맞은편 산, 늘 엽서에 나오는 뾰족한 산 와이나추는 영 마운틴 ‘젊은 산’이라는 뜻으로, 마추픽추가 더 높아서 산이 더 늙었다고 생각한 잉카인들이 지은 이름이었다. 여기는 왕의 겨울 궁전으로 외부에서는 전혀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 숨겨진 잉카의 비경을 담고 있다.
아침 11시가 조금 넘자, 마추픽추의 너른 대지에 세계에서 모인 관광객들로 가득 찬다. 각양각색의 언어들이 여기저기서 들리며, 왕의 방, 마켓, 운동장, 잉카 테라스, 작물 보관소, 평민 거주지, 식물원 등을 부지런히 관람한다. 자세히 보면 평민인 루나가 사는 집은 우리가 흔히 덕수궁 돌담길 짓는 방식으로 큰 돌과 작은 돌을 적당히 섞어서 만들고, 큰 황금 귀걸이를 착용한 귀족 계급인 오레 호니스와 왕이 거주하는 궁전이나 제사를 지내는 곳은 멋들어진 큰 돌을 빈틈없이 교합한 석조물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잉카 테라스라고 하는 작물을 키우는 계단식 논(한 계단의 높이가 2m나 된다)에는 홈을 파서 수도관을 만들고, 돌에 요철을 내 레고식으로 조합해서 지진에도 무너지지 않게 한다.
산비탈의 잉카 테라스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1670461_AA.12678071.1.jpg)
혁명을 꿈꾼 청년 체 게바라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1670461_AA.12678079.1.jpg)
오후 2시까지 이 땅은 듀링고의 땅이었다. 그러나 끈질기게 남아 있으면, 점점 관광객들이 사라진다. 나는 로물루와 점심 전에 헤어져서 계속해서 마추픽추에 혼자 남아 있었다. 잉카 브리지 가는 길은 조그만 수풀을 지나 북쪽 문의 방명록에 이름을 적고 걸어 가면 15분 정도 걸린다. 길 끝에는 말문이 막히게 아름다운 깎아지른 절벽과 그 사이 위태롭게 매어 달린 잉카인들이 만든 다리가 나왔다. 태양의 문은 왕복에만 2~3시간은 족히 걸렸다.
성경을 귀에 대는 족장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1670461_AA.12678088.1.jpg)
그러나 스페인들은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스페인군에 금은 빛나는 욕망의 대체물이었지만, 잉카인들에게 금은 모든 것의 시작인 태양을 의미했다. 성경을 내던진 것도 잉카인은 추상적인 신이 아닌 자연에서 보고 들은 것만 믿었기 때문이었다. 금 역시 대지의 아버지가 준 태양의 일부였고, 태양과 신은 모두 높은 곳에 살고 있었다. 그들은 하느님은 하늘에서 만나야 한다고 믿은 민족이었다.
하늘의 신을 상징하는 콘도르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1670461_AA.12678092.1.jpg)
심영섭 영화평론가 chinablue9@hanmail.net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