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초 경영이론 지식활동 시대 안맞아
혁신은 내부서 시작…고객보다 직원이 우선
리더는 직원 능력 펼칠 기회 찾아줘야
[ 뉴욕=이심기 기자 ] 한 분야의 대가(大家)를 만나면 대개 이런 질문을 던지게 마련이다. “무엇을 해야 합니까.” 그가 경영 혁신의 대가라면 더욱 그렇다. 글로벌 정보기술(IT)업계 대표주자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부터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이르기까지 일류 조직을 고객으로 둔 경영 구루. 그에게서 돌아온 대답은 의외로 “없애라”였다. 미국 오클라호마주에 있는 오럴로버츠대의 데이비드 버커스 경영학과 교수는 “혁신을 한다고 무엇을 보태려 하지 말라. 그것이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저서 《경영의 이동(Under New Management)》(사진)이 지난달 한국에서 번역 출간된 것을 계기로 그와 인터뷰했다.
▷무엇을 없애야 합니까.
“더 나은 결과를 달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것들입니다.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잡아당기는 게 뭔지 찾아야 합니다. 위계질서, 급여 비밀주의, 성과 漬? 휴가 정책 등 열세 가지를 제안했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꼽아주십시오.
“넷플릭스는 직원들이 얼마나 휴가를 가는지 따지지 않습니다. 직원들은 ‘우리가 얼마나 일을 하는지 확인하지 않으면서 왜 휴가는 얼마나 썼는지 보고해야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최고경영자(CEO)는 휴가일수를 체크하는 게 직원들을 짜증나게 하는 관료적 업무라는 걸 깨닫고 휴가 정책이라는 걸 아예 없앴습니다.”
▷모든 기업이 따라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회사와 직원 간 신뢰의 문제입니다. 직원이 일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쓰는지는 관심이 없으면서 휴가를 얼마나 사용하는지만 점검한다면 신뢰가 쌓이기 어렵습니다. 신뢰는 저절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신뢰는 어떤 행동에 대한 응답입니다.”
▷고객이 아니라 직원을 1순위에 두라고 했습니다.
“직원 만족 없이는 고객 만족도 없습니다. 직원들로 하여금 회사가 자신들을 진정으로 돌본다고 생각하게 하고, 직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면 고객 서비스는 나아집니다.”
▷‘고객은 왕이며, 월급은 고객의 지갑에서 나온다’는 게 일반적 경영이론인데요.
“회사가 고객에게 만족감을 주기 위해 고객이 보는 앞에서 상사가 직원을 꾸지람하는 경우는 어떨까요. 그 직원은 고객에게 봉사하려는 생각을 절대 갖지 않을 것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