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프랑스 사무소 설치
모든 메뉴 직접 제조 원칙
(2) 좌석이 있는 카페형 매장
최고급 브랑제리 형태 진출
2개 매장 방문객 70여만명
(3) 빙수·단팥빵 한국식 메뉴
단순한 프랑스 빵집과 차별화
빵에 대한 새 경험 제공
[ 강진규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8/2016080106371_AA.12102640.1.jpg)
2014년 7월 파리에 진출한 파리바게뜨가 2년 만에 현지에 뿌리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샤틀레점과 오페라점 등 두 개 매장의 누적 방문객은 70만명을 넘었다. 최근에는 현지 41개 레스토랑에 식사용 빵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빵의 본고장에서 품질을 인정받았다는 얘기다.
‘직접 만든 것만 파는 곳’
![](http://img.hankyung.com/photo/201608/2016080106371_AA.12104066.1.jpg)
파리바게뜨는 현지인 입맛에 맞춰 가장 많이 팔리는 바게트를 구워 파는 것으로 시작했다. 또 수백년 된 브랑제리와 차별화하기 위해 원재료 품질을 함께 높이는 전략을 택했다. 다른 회사가 생산한 간식류는 팔지 않는다. 다른 브랑제리가 어린이를 위해 초콜릿과 젤리류를 납품받아 판매하는 것과 다른 점이다.
불레 이사는 “공산품은 설탕류 등 몸에 좋지 않은 성분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판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파리바게뜨는 수많은 브랑제리 중 건강을 중시하는 곳으로 인식돼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고품질 빵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현지 레스토랑 41곳에 매달 6만개의 식사용 빵을 납품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이 중에는 프랑스 유명 배우 제라르 드파르디유가 소유한 레스토랑 ‘라 퐁텐느 가이용’도 포함돼 있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파리 브랑제리 중 처음으로 야외에 카페형 공간을 마련하고, 매장 안에 의자와 테이블을 준비한 공간 전략도 성공 비결”이라고 덧붙였다.
현지 레스토랑 41곳에 빵 공급
파리바게뜨에는 다른 브랑제리에서 볼 수 없는 메뉴가 많다. 빙수가 대표적이다. 한국에서 판매하는 망고빙수, 커피빙수, 딸기빙수를 그대로 팔고 있다. 불레 이사는 “빙수라는 새로운 디저트를 맛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호기심 많은 프랑스인이 몰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식 빙수는 프랑스 대통령궁인 엘리제궁에도 입소문이 났다. 파브리스 플렌센 엘리제궁 파티시에는 “프랑스에는 없는 매우 독특한 디저트”라고 평가하며 빙수 제조 기계와 레시피 등을 문의하기도 했다. 이뿐 아니다. 단팥빵과 소보루빵 등 코팡은 매일 70여개가 팔린다. 시폰케이크도 현지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한국식 메뉴다. 단조로운 다른 브랑제리와 차별화한 포인트다.
오랜 준비도 파리바게뜨가 파리에 안착할 수 있었던 요인이다. 파리바게뜨는 1998년 프랑스에 사무소를 냈다. 북부 노르주에 있는 릴에서 프랑스 밀과 제빵 기계 등을 직접 수입해 제품을 개발했다. 프랑스인의 입맛에 맞는 빵을 만들기 위한 준비였다. 2006년 현지 법인을 세워 본격적으로 매장 낼 준비를 하고, 메뉴를 개발했다. 불레 이사는 “내년께 파리에 세 번째 매장을 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며 “파리 이외 도시나 다른 국가에는 내실을 다진 뒤 진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파리=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