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제이슨 본과 구글, 그리고 카카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제이슨 본과 구글, 그리고 카카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안정락 IT과학부 기자) 요즘 핫하다는 영화 <제이슨 본>을 봤습니다. 직업병인지 영화 속에 가장 눈에 띈 건 인터넷 회사 ‘딥드림’이었습니다. 딥드림의 최고경영자(CEO)로 나온 사람(배우: 리즈 아메드)이 왠지 생긴 게 구글의 순다르 피차이 CEO랑 닮았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생각해 보니 딥드림이란 회사명도 ‘딥마인드’(알파고를 만든 구글 자회사)+‘데이드림’(구글의 가상현실 플랫폼)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의도적인 게 분명해 보이더군요.

영화 속에서 딥드림 CEO는 정부가 인터넷을 통제해 시민들의 사생활을 감시하고 있다는 것을 폭로하려다 제지를 당합니다. 한국에서도 재작년에 정부의 카카오톡 사찰 논란이 일기도 했었죠.

그 유명한 에드워드 스노든도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사람들의 통신 기록을 무차별적으로 수집하며 사생활을 침해하고 있다는 것을 폭로한 사실을 잘 아실 겁니다. 참! 올리버 스톤 감독이 곧 <스노든>이란 영화도 선보인다는데 기대하고 있습니다.

혹시 에드워드 스노든이 직접 출연한 다큐멘터리 영화 <시티즌포>를 아시나요? 이 영화를 보면 정말 놀랍습니다. 꼭 추천하고 싶은 영화입니다. <제이슨 본>도 이런 내용을 일부 다루고 있다는 게 좀 신기하더군요. 단순히 전편들처럼 ‘나는 누구인가’ 하며 정체성 고민이나 할 줄 알았는데 말이죠.

P.S. <제이슨 본> 영화 얘기도 좀 덧붙입니다. 역시나 볼거리는 풍부합니다. 폴 그린그래스 감독의 연출에 맷 데이먼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데, <대니쉬걸>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받은 알리시아 비칸데르까지 나오니 눈은 즐겁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물론 뭐 엄청난 메시지나 감동 같은 건 없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그런 걸 기대하는 영화는 아니니 주말 킬링타임용으로는 충분하지 않을까 싶네요.(끝) / jran@hankyung.com



한경+는 PC·폰·태블릿에서 읽을 수 있는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입니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