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리포트
융통성 없는 전력 운용 시스템
연료비 싼 원자력·유연탄·LNG 순 가동해야
전문가 "환경오염 등 사회적 비용 감안 땐 차이 없어"
가격 논리에 뒷전으로 밀린 친환경 발전
민간발전소 수익성 악화…영업익 70% 감소도
미국·독일 등 선진국선 LNG열병합 비중 확대
[ 송종현 기자 ] 정부가 미세먼지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석탄화력발전 비중을 줄인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대체 발전원으로 꼽히는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는 가동률 저하로 몸살을 앓고 있다.
2011년 9·15 순환 대정전 이후 전력 공급과잉이 만성화된 가운데 연료비가 싼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가 먼저 팔리도록 규정한 전력거래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탓이다.
○LNG발전소 10개 중 3개는 개점휴업
28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한국 전력시장에서 전체 설비용량 98.9기가와트(GW) 중 32.9%(32.6GW)를 차지하고 있는 LNG발전소의 가동률은 26.1%(올 4월 기준)에 머물렀다.
LNG발전이 생산한 전력량은 6120기가와트시(GWh)로 전체의 15.2%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원자력발전(38.1%), 석탄화력발전(31.1%)에 크게 뒤떨어지는 수준이다. LNG발전소를 운영하는 민간 발전사들의 수익성도 악화되고 있다. 3대 민간 발전사인 포스코에너지, GS EPS, SK E&S의 1분기 영업이익은 총 689억원으로 전년 동기(1973억원) 대비 65.0% 감소했다.
LNG발전소는 정부의 전력정책 우선순위에서도 석탄화력발전소에 밀려 있다. 정부는 작년 7월 발표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29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20기, LNG발전소 14기, 원전 13기 등을 짓기로 했다.
○소외 원인은 비싼 연료비
발전시장에서 LNG발전이 소외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연료비가 싼 발전소부터 가동에 들어가는 발전시장 운영 시스템이 꼽히고 있다. 현 시스템은 전력 수요에 따라 연료비 단가가 가장 낮은 원자력발전이 우선 가동되고, 이후 석탄화력발전, 마지막에 LNG발전을 돌린다. 지난 5월 기준 연료비 단가는 원자력이 킬로와트시(㎾h)당 5원50전으로 가장 싸고, 유연탄이 34원90전, LNG가 73원90전 등이다.
전문가들은 “발전원가 이외에 송전선 설치 지연 및 환경오염 등에 따른 사회적 비용까지 감안할 경우 LNG발전의 전력생산 비용이 석탄화력발전소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석탄화력발전소는 환경규제 등 요인으로 전력 수요가 많은 수도권 근처에 짓지 못하고,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건설해야 한다. 이후 송전선을 통해 수도권까지 전기를 끌어와야 하지만, 송전선이 통과하는 지역 주민 반대 등으로 건설에 애를 먹고 있다.
조영탁 한밭대 교수는 지난달 열린 한 토론회에서 “송전설비 건설 지연, 대기오염 등에 따른 비용 등을 포함한 환경 및 사회적 비용은 석탄화력발전과 LNG발전이 각각 ㎾h당 48원90전과 13원60전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여기에 5월 평균 연료비를 더하면 총전력생산 비용은 석탄발전 83원80전, LNG발전 87원50전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게 조 교수의 설명이다.
○LNG발전 확대하는 선진국
선진국들은 미세먼지 및 탄소배출 저감 등을 위해 LNG발전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미국은 2035년까지 짓는 신규 발전소의 60%를 가스발전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2015년 말 기준으로 20개주에서 LNG를 연료로 열과 전기를 함께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을 신재생 전원과 대체에너지 이행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다.
열병합발전은 미국 독일 벨기에 등 선진국들이 지원을 확대하면서 보급을 늘리는 추세다. 독일은 2020년까지 열병합발전 비중을 25%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보조금 지급, 세금 감면 등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발전업계 관계자는 “LNG발전이 석탄화력발전을 대체할 실질적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