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수익률 3위 올라
"2020년 자산 두배로…톱5 진입"
[ 허란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3/2016032997471_AA.11471953.1.jpg)
취임 1주년을 맞은 한동주 사장(사진)은 2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운용역(펀드매니저)에게 1등 하지 말라고 한 것이 역설적이게도 좋은 성과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한 사장은 1등을 독려하지 않는다. 대신 ‘상위 30%’를 강조한다. 그는 “수익률 1등은 안정적인 운용 원칙을 어기고 특정 업종에 치우쳐 투자한 것으로 간주한다”며 “매년 수익률 상위 30% 안에 드는 안정적인 성과를 내다보면 3년 뒤에 전체 3위 안에 든다는 것이 그동안의 경험”이라고 설명했다.
NH-CA자산운용은 연초 이후 수익률 순위에서 전체 운용사 중 3위(1.12%)를 차지했다. 수탁액은 29조원으로 2014년 말 대비 12조원 이상 늘었다.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운용 과정을 확립하고 운용 조직을 확대 개편한 결과다. 한 사장 체제에서 운용역 수는 25명에서 47명으로 늘었고 글로벌솔루션본부 대체투자본부 등 4개 본부가 새로 생겼다.
한 사장은 누구보다도 운용을 잘 아는 CEO지만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철칙으로 여기고 있다. 1987년 대우경제연구소를 시작으로 12년간 증권업계에 몸담은 데 이어 동부자산운용 운용본부장,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운용전략실장, 흥국자산운용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12년을 운용업계에서 일했다. 그는 흥국자산운용 대표 시절 3년간 운용역 회의에 딱 한 번 들어갔으며 NH-CA자산운용에서도 지난 1년간 회의에 참석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한다.
한 사장은 “운용을 직접 해봤기 때문에 운용역의 고민을 잘 알고 있다”며 “CEO는 운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운용을 도와주는 자리”라고 선을 그었다. 시장 전망에 대해 말을 아끼는 것도 이 때문이다. CEO가 시장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다 보면 아무래도 운용역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금융업이 제조업의 자금조달 창구에서 주요 투자자 역할로 바뀔 것이라는 게 한 사장의 진단이다. 이 과정에서 금융업이 은행업 위주에서 자본시장 중심으로 재편되는 것도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설명이다.
NH-CA자산운용은 2020년까지 자산 규모를 지금의 두 배 이상인 60조원으로 늘리고, 업계 5위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없이 공개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