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생글기자 코너] 온라인 교육혁명 MOOC를 아세요? 등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온라인 교육혁명 MOOC를 아세요?

“개방형 온라인강좌(MOOC)는 교육에서 종이 인쇄 이후 가장 중요한 혁신이라고 확신한다.” 라파엘 리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총장의 말이다. 개방형 온라인 강좌 열풍이 최근 몇 년 사이 미국과 유럽을 거쳐 아시아와 한국에까지 도달했다. 지난해 10월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한국형 무크(K-MOOC)’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K-MOOC에는 경희대, 고려대, 부산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포스텍, KAIST, 한양대 등 10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각 대학은 2~4개씩 27개 강좌를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제공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온라인 공개강좌 사업이 첫발을 내디딘 것이다.

MOOC는 ‘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약자로, 대규모 사용자 대상의 상호 참여적인 온라인 공개강좌를 의미한다. ‘고등교육의 지각 변동’이라 불리며 교육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MOOC는 인터넷을 통해 세계적인 석학들의 강좌를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에 이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2012년 4월 스탠퍼드대를 주축으로 한 온라인 무료 교육 플랫폼이자 MOOC의 진원지인 ‘코세라(Coursera)’를 시작으로, ‘에덱스(edX)’ ‘유母쳤?Udacity)’ 등 여러 MOOC 사이트가 등장하면서 거대한 교육의 흐름을 형성했다.

MOOC의 가장 큰 장점은 세계 여러 명문대가 제공하는 유명 강좌를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균등한 교육 제공’과 ‘학비 걱정 없이 세계 명문대 강의를 집에서’를 모토로 하는 만큼, MOOC는 누구나 어디서든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해 준다. 비싼 학비와 시간을 할애하며 고등교육을 받을 필요가 없는 세상이 열린 것이다. 일반적인 온라인 강좌와는 다른 MOOC의 또 다른 장점은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며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온라인 토론 게시판,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 평가, 퀴즈 형식의 강의 중간 테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돋보인다. 구글 행아웃 등의 온라인 화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해 서로 얼굴을 맞대고 열띤 토론을 벌이는 강좌도 있다.

MOOC가 장점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온라인으로 지속적으로 상호 교류한다 해도 다른 학생들과 함께 교수를 마주보고 듣는 강의보다는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다시 말해, 학습자가 고립돼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MOOC의 이런 특성은 낮은 수료율로 이어져 비관론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MOOC 활성화가 우리나라 대학의 위기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발이 적지 않다. 대학 진학률이 낮아지고 여러 대학이 구조조정에 내몰리는 등의 어려움에 처한 터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2018년까지 500개 이상의 강좌 운영을 목표로 K-MOOC 사업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제적 호환성이 높은 에덱스(edX) 플랫폼을 채택해 해외 대학과도 연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사회가 학벌 중심이 아닌 진정한 지식인이 대우받는 사회로 한 걸음 더 가까워지기를 기대한다.

조혜윤 생글기자 yulimcho@naver.com

테러방지법,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테러방지법을 두고 국회에서 필리버스터가 이뤄진 적이 있다. 법안에 찬성하는 사람과 반대하는 사람으로 나뉘어 국회에서 큰 공방이 벌어졌다. 학교에서도 친구들과 테러방지법을 주제로 토론을 했다. 테러방지법이란, 위험인물로 의심되는 인물을 추적해 테러를 사전에 방지하자는 법안이다.

테러방지법을 반대하는 사람들, 주로 야당 측은 테러방지법이 아니라 ‘국민감시법’이라고 주장한다. 테러방지법이 악용되면 인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국정원에서 한 사람을 의심하기 시작하면, 통화 내용을 무제한으로 감청할 수 있고 모든 정보를 추적 및 수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또 테러방지법이 통과되면 국정원을 막을 제동 장치가 사라진다고도 말한다. 함께 토론한 친구들도 대부분 이렇게 생각하고 있었다.

테러방지법을 찬성하는 사람은 주로 여당 쪽이다. 그들은 정상적인 사람이면 사찰을 받을 이유가 없고 말한다. 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테러범의 인권을 보호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그들의 말에 따르면, 테러방지법은 선량한 시민이 아니라 테러단체에 소속된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국정원의 권위가 지나치게 커진다는 우려에는 국정원이 단독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법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고 논박했다.

문제는 토론을 한 친구들처럼 테러방지법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 중 많은 이가 나중에는 친구와 통화하다가 정부 욕만 해도 체포될 수 있다고 지나치게 극단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함께 토론한 친구들도 ‘앞으로 정부 얘기할 때는 모스 부호를 써야 하는 것 아니냐’ ‘카카오톡 비밀채팅도 소용없다. 전부 감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은 도청은 물론 국정원의 의심조차 받을 일이 거의 없고, 만약 받더라도 정부를 욕했다는 사실만으로는 테러범으로 체포할 수 없다. 또 대부분이 사적인 내용인 사람들의 통화나 메시지를 국정원이 엿본다고 해도 국민에겐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는다. 게다가 도청이나 위치 추적을 전혀 할 수 없다면 철두철미하게 움직이는 테러범을 미리 알고 체포하기는 무척 어려워진다.

테러방지법이 국회에서 통과된 지 며칠이 지났지만 아직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테러방지법을 국민감시법으로 몰고 가기 전에 테러범의 인권과, 테러를 막아 살릴 수 있는 수많은 사람의 목숨 중 무엇이 더 중요한지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까.

김나영 생글기자 kkim9272@naver.com

영화 '귀향'이 보여주려는 것

“여기가 지옥이다, 야.” 지난달 개봉한 영화 ‘귀향’은 일제 강점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영화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열네 살, 어린 소녀 정민이 일본군에게 끌려가 당한 아픔을 그렸다. 귀향은 시琯湧?자발적인 후원을 받는 ‘크라우드 펀딩’ 방식으로 제작돼 관심을 끌었다. 7만5270명의 국민이 십시일반격으로 후원해 영화 제작비의 50%가 넘는 12억원을 마련했다고 한다.

영화 제작자가 당초 1000만 원을 목표로 했던 것을 생각하면 뜨거운 후원 열기였다. 후원자들의 명단은 이 영화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이 영화는 또 배우들과 촬영 스태프들의 재능기부로 만들어졌다. 이들이 기부한 멋진 재능은 영화를 더욱 뜻깊게 했다고 한다.

일본군은 위안부를 1932년 1월 만들었다. 영화에서처럼 어린 소녀들은 아무 것도 모른 채 위안부에 끌려가야 했고, 결국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소녀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들은 하루에 20명 정도의 일본군을 상대해야 했으며 거부하면 죽도록 매질을 당하였다. 하지만 대가는 형편없었다. 수입은 보잘것 없었으며, 그나마 수입의 60%는 업자에게 빼앗겼다. 세금도 내야 했다. 중간에 대량 학살로 목숨을 잃은 위안부도 많았고, 전쟁이 끝나고도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위안부도 많았다. 나중에 결혼을 하고도 임신을 못한 분들도 많다고 한다. 이처럼 이들은 말 못할 신체적, 경제적, 심리적 고통과 여성으로서의 수치심을 안고 살아가야 했다.

피해자 할머니들과 시민 단체 회원들은 일본군 위안부의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수요집회’를 열고 있다. 수요집회는 매주 수요일, 한국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린다. 1992년 시작된 이 집회는 2000년 500회를 맞이하면서 단일 주제로 개최된 집회로 세계 최장 기간 집회기록을 세웠다. 아직까지 기록 경신은 계속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 집회에 한번 참여해 보는 것도 매우 의미가 있을 것 같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작년 12월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를 이뤘다. 그 뒤 2개월여 후에 개봉한 터라 이 영화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다. 위안부로 끌려간 사람은 20만 여 명에 이른다. 당시 이들의 평균 나이는 16세였다고 한다. 이중 2월말 기준 생존자는 44명뿐이다. 올들어서만 할머니 두 분이 돌아가셨다. 생존 할머니들의 평균 연령도 89.7세에 이른다. 시간이 지날수록 생존자는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위안부는 드러내놓고 말하기 쑥스러운 주제다. 영화는 영화이기에 내용이 100% 사실이라고 말하기는 곤란하다. 강제로 끌려간 사람도 있지만, 자발적으로 간 ‘여성’도 없지 않았기 때문이다.

박유하 교수가 쓴 ‘제국의 위안부’는 그런 점에서 읽어볼만한 책이다. 나라가 허약해 식민지화될 때 어떤 아픔이 발생하는지 이 영화는 똑똑히 보여준다.

하윤서 생글기자 hahajulie@naver.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