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기업하기 괜찮은 도시…우수인재 확보는 숙제"
지리적 여건이 최대 매력…"성장 잠재력 크다" 62%
10곳 중 4곳 올 경영 목표는 "긴축 속 성장기반 확보"
[ 서욱진 / 김태현 기자 ]

부산상공회의소와 한국경제신문이 부산지역 상공인 70명을 상대로 최근 벌인 설문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부산을 어떤 도시로 발전시켜야 하는지 묻는 질문에 54.4%가 ‘첨단 산업 유치 및 육성’이라고 답했다. 영화, 금융, 관광 등 최근 부산에서 뜨고 있는 ‘소프트산업’과 함께 정보기술(IT), 바이오 등 미래 성장 산업을 새로운 먹거리를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물류 중심 도시’라는 응답은 29.4%로 다음으로 많았다. ‘신발 등 기존 제조업 육성’과 ‘서비스산업 중심의 주거도시’는 각각 8.8%와 7.4%였다.
부산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질문 ?13.4%가 ‘아주 크다’, 49.3%가 ‘크다’고 답해 긍정적인 응답이 60%를 넘었다. ‘보통이다’는 31.3%였으며 ‘작다’는 응답은 6%에 그쳤다. 부산 경제의 전망이 밝은 이유로는 ‘항만을 낀 지리적 여건’(47.6%)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인의 노력’이라는 응답도 25.4%로 높게 나타났다.
부산 기업인들은 올해 경영 상황을 묻는 질문에 ‘나쁘다’ 55.7%, ‘아주 나쁘다’ 8.6% 등 60% 이상이 어렵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30%였으며, ‘아주 좋다’와 ‘좋다’는 각각 1.4%와 4.3%였다. 경영이 어려운 이유로 가장 많은 53.1%가 ‘중국 등 글로벌 경기 침체’를 꼽았다.

다음은 ‘환율 유가 등 대외 여건’(26.6%), ‘자체 경쟁력 약화’(9.4%), ‘정부 등의 지원 미비’(7.8%) 등의 순이었다.
부산지역 기업인들은 지금의 어려움이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버금가거나(27.7%), 그만큼은 아니지만 심각한 수준(56.9%)이라고 답했다. ‘주기적으로 닥치는 어려운 수준’이라는 응답은 9.2%, ‘특별히 나쁠 것 없다’는 응답은 6.2%였다.
사업 구조조정 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지만 현재 계획이 없다’는 대답이 52.9%로 가장 많았다. ‘당장 필요해 실시할 것’이라는 응답도 8.6%나 됐다. ‘지금은 아니지만 불가피해질 수 있다’ ‘불필요하다’(17.1%)는 응답은 각각 20.0%, 17.1%였다.
회복 시기를 묻는 말에는 56.7%가 ‘언제가 될 지 전망하기 힘들다’고 답했다. 이어 ‘2, 3년 뒤’(31.3%), ‘올해 안’(6%)이라는 대답 순이었다.
부산 상공인들은 힘든 상황 속에서도 향후 성장 기반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부산시가 전반적으로 기업하기 괜찮은 도시라고 답했다. 올해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경영 전략에 대해선 37.1%가 ‘긴축경영 속 미래 성장기반 확보’라고 응답했다. ‘긴축 또는 비용 절감으로 위기상황 극복’이라는 대답이 28.6%로 뒤를 이었다. ‘생존 차원이 비상경영 체제’라는 대답은 11.4%였으며, ‘위기속 도약을 위한 공격 경영’이라는 답도 15.7%나 됐다.
부산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좋다’(21.7%)와 ‘아주 좋다’(1.4%) 등 긍정적인 답변이 23.1%였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59.4%, ‘나쁘다’는 대다은 17.4%였다. 부산의 기업 환경이 좋다고 답변한 상공인들은 그 이유로 ‘항만 등 인프라’(40.4%)와 ‘수출 등에 유리한 지리적 여건’(38.5%) 등을 주로 꼽았다.
기업 환경이 별로인 이유는 40.3%가 ‘질 좋은 노동력 확보 어려움’이라고 지적했다. 한국 ‘제2의 도시’라고 하지만 서울과 수도권에 비해서는 선호도가 떨어져 우수 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는 설명이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부산 상공인들은 경영 상황이 어렵지만 부산시의 발전 가능성을 믿고 미래 새로운 먹거리 찾 藪?힘쓰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첨단산업 유치 지원과 노동력 공급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욱진/부산=김태현 기자 venture@hankyung.com
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없이 공개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