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세 가구의 평균 전세 보증금이 1억원을 돌파했다. 소득은 소폭 올랐지만 전세금은 뛰어 전세 세입자들은 빚에 의존하는 상황에 몰린 것으로 보인다.
14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의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지난해 전세 가구가 낸 전세금은 평균 1억598만원이었다.
전세금은 전년(9930만원)보다 6.7%나 뛰었다.
2010년 첫 조사 때만 해도 7496만원이던 전세금은 매년 상승세를 거듭했다.
1억원을 넘긴 것은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세입자의 소득은 전세금 상승 속도만큼 늘지 못했다.
작년 전세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은 4729만원으로 전년보다 0.5%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0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로 전세 가구의 경상소득은 가장 낮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소득은 찔끔 늘고 전세금은 크게 올라 세입자들이 전세금을 마련하기는 더욱 어려운 일이 됐다.
2010년만 해도 전세 가구의 경상 소득은 3910만원, 전세금은 7496만원으로, 전세금이 소득의 1.9배에 그쳤지만 작년에는 소득의 2.2배에 달하는 돈을 집주인에게 내야 전셋집을 구할 수 있는 셈이 됐다.
전세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가구들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야 하는 처지에 이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세 가구 중 금융 부채가 있는 비 꼭?전년보다 1.8%포인트 줄어든 57.1%로 집계됐다.
그러나 금융 부채를 진 가구의 평균 부채 규모는 5561만원으로 전년보다 9.9% 불어났다.
특히 빚을 낸 전세 가구의 41.6%는 전세금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빚이 늘면서 원리금 부담도 늘어났다.
세금이나 연금, 4대 보험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소득인 처분 가능 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2.7%로 전년보다 2.7%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전세금이 폭등한 것은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세금을 받아 이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진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며 공급을 줄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역 아파트 평균 전세 가격은 작년 1월 말 3억1864만원에서 12월 말 3억7800만원으로 5665만원 뛰었다.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 가격도 지난해에만 2638만원 올랐다.
반면 저성장 여파로 지난해 가계소득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1.2%)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1.6%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득이 별로 늘어나지 않는데 집 등 생존과 연관된 지출 비중이 늘어나면 다른 지출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든다"며 "이는 기업 매출·투자·고용 감소, 소득 감소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고 우려했다.
['21년 최장수 사외이사 나올까'…식품업계 주총 관전포인트], [현대차 아이오닉 타고 '서울-부산-남해' 1050㎞ 달려보니],[주주 끌어안은 삼성전자 주총…'사외 의장' 개방 의미는?], [반전 매력 가진 볼보 'V40 크로스컨트리'…"귀엽지만 세다"], [갤럭시S7 전시장 메운 '♥' 의미는?], [대박 혹은 쪽박…'아마존' 꿈꾸는 김범석의 실험]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없이 공개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