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IT 스타트업의 산실
작년 외국인 직접투자 34억弗…인도 IT업체의 55%가 '둥지'
바이오·요식업 등으로 확대
각종 세금 혜택…창업 북돋아
작년 카페커피데이 IPO 성공
[ 김순신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508041_AA.11172817.1.jpg)
장충식 KOTRA 벵갈루루 무역관장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취임한 뒤 스타트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면서 인도 정보기술(IT)의 본산인 벵갈루루에 돈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벵갈루루에서 ‘인포시스’ 등 IT 기업은 물론이고 ‘카페커피데이’ 같은 카페 체인에 이르기까지 분야를 가리지 않고 창업 신화가 줄줄이 나오면서 젊은이들이 주저 없이 창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인도 IT 스타트업의 산실
벵갈루루의 성장은 인도 스타트업 성공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1981년 7명의 젊은이가 단돈 250달러로 창업한 인포시스는 세계 유수의 IT, 컨설팅 및 아웃소싱 회사 중 하나로 발전했다. 현재 30여개국에 890개 기업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인포시스의 지난해 매출은 8조5000억원 규모로 순이익은 2조원에 육박한다. 인포시스의 성공은 벵갈루루를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성공을 꿈꾸는 인재들이 몰렸고, 양질의 저렴한 노동력을 찾는 글로벌 기업들은 투자를 시작했다.
차트나 프라브하 카르나타카주 상업공업부 차관보는 “1980년대부터 공대를 세워 고급 인력을 육성했다”며 “1990년대엔 해외 기업들이 연구개발(R&D)센터를 세울 수 있는 특별도시를 조성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유치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벵갈루루에 몰린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인도 전체 FDI의 6%인 34억4400만달러(약 4조1293억원)에 달한다.
공항에서 벵갈루루 시내로 들어가는 25㎞ 길이의 고속도로 주변에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IBM, HP, 델 등 세계적인 IT 기업과 아스트로제네카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등 글로벌 제약회사의 R&D센터가 줄줄이 들어서 있었다.
장 관장은 “벵갈루루엔 인도를 대표하는 IT 기업인 TCS, 위프로를 포함해 3700여개에 이르는 인도 IT업체의 55%가 자리 잡고 있다”며 “인도의 우버라고 불리는 차량공유 서비스 업체 ‘올라’ 역시 벵갈루루에서 시작한 스타트업”이라고 전했다.
○바이오·요식업 등 창업 분야 확대
벵갈루루의 창업생태계는 바이오, 전자상거래 등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프라브하 차관보 ?“인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로 성장한 플립카트도 이 지역 토종 기업”이라며 “스타트업과 더불어 바이오테크 허브로 도시를 한 단계 더 성장시키기 위해 바이오업체에 각종 세금 혜택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도 최대 생명공학업체인 바이오콘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두고 있다.
요식업 등 주변 산업도 스타트업 바람이 불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1억7000만달러(약 1983억원)를 유치하며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카페커피데이가 대표적이다. 1996년 벵갈루루에 1호점을 연 인도의 커피전문점 카페커피데이는 2015년 기준 인도 전역에 1550개의 점포를 개설했다.
인도에 진출한 세계적 외식업체 도미노피자(921개), 서브웨이(531개), 맥도날드(213개)의 점포 수를 웃도는 수치다.
장 관장은 “벵갈루루엔 벤처캐피털이 발달해 모든 분야의 스타트업이 투자받기 쉽다”며 “세제 혜택 등 모디 총리가 최근 발표한 스타트업 우대 정책 덕분에 벵갈루루에서의 창업은 더욱 많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508041_AA.11176139.1.jpg)
벵갈루루=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