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뻣뻣이 서도 될까"…알고보니 올바른 셋업
그립 악력은 백스윙부터 임팩트 때까지 일정해야
테이크백을 바깥쪽으로 지나치게 멀리 빼면 안돼
[ 이관우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3062531_01.11064147.1.jpg)
“서는 순간이 문제의 시작이네요.”
첫 단추부터 잘 못 끼웠다. 골프채를 잡고 발을 벌려 상체와 무릎을 굽히는 ‘셋업’이 왜곡됐다는 얘기다.
“상체가 너무 숙여져 있으면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기 때문에 힘을 제대로 못 써요. 샤프트와 상체가 이루는 각도가 95도에서 110도 정도 될 때 힘이 잘 전달됩니다.”
발바닥 가운데로 무게중심을 옮긴 뒤 상체를 세워봤다. 뻣뻣하고 어색한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 그랬는데도 ‘더 세우라’고 최송이 프로는 채근했다. “이렇게 뻣뻣이 서서 스윙이 될까? 진짜 어색한데….”
뭔가 잘못된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던 게 사실이다. 그랬더니 사진을 찍어 보여줬다. 신기하게도 안정적인 셋업이 만들어져 있었다. 토(toe) 쪽이 항상 들려 있던 클럽헤드도 지면에 잘 밀착됐다. 스포츠 심리에 밝은 최 프로 ?말했다.
“골퍼마다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스윙 이미지가 있어요. 근데 그 이미지가 몸에 새겨진 스윙과 완전 딴판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지 왜곡 현상이죠. 자신은 정상이라고 믿지만 사실은 비정상인 겁니다.”
공을 놓고 어드레스해보자 이미지 왜곡에 따른 ‘착시’ 증세가 명확해졌다. 양발 앞 정중앙에 볼을 놓고 클럽페이스를 가져다 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발 사이에 클럽을 넣어 공과 연결해 보니 실제로는 왼발에 가깝게 치우쳐 있었던 것이다. 뒤통수를 한 대 맞은 듯했다.
“그걸 정중앙이라고 믿고 어드레스해왔으니까 오른쪽 어깨가 앞으로 나오고, 클럽페이스가 자꾸만 닫혀 맞는 겁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3062531_01.11064146.1.jpg)
문제를 엉뚱한 데서 찾았던 게 문제였다. 클럽페이스가 닫힌 채 공을 때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다운스윙 때 무의식적으로 오른쪽 어깨를 심하게 밑으로 떨어뜨리는 동작이 바로 이 때문이었던 것이다. 훅을 피하려다 오히려 엄청난 푸시(오른쪽으로 똑바로 날아가는 구질)가 나는 원인이기도 했다.
공을 오른쪽으로 살짝 옮기고 다시 셋업을 했다. 앞으로 쏠려 있던 오른쪽 어깨가 펴지면서 타깃과 좀 더 평행이 됐다. 그 상태에서 최 프로의 조언대로 상체를 오른쪽으로 살짝 기울였다. 드라이버를 칠 때는 약 12도, 아이언은 약 8도 안팎으로 상체를 오른쪽으로 기울여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 그대로 해봤더니 결과가 놀라웠다. 클럽페이스가 공과 직각을 이룬 것이다. 그동안 수없이 시도했지만 해결되지 않았던 난제였다.
그 ?골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표준 셋업 모양새는 있다고 했다. 타이거 우즈(40)가 좋은 예다. “우즈는 상체를 43도가량 앞으로 숙이고, 허벅지는 25도 정도 굽혀요. 발목 위 정강이가 앞으로 숙여지는 각도는 9도쯤 되고요.”
![](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3062531_01.11064145.1.jpg)
“왼손으로만 그립을 잡고 앞으로 내밀어 손목을 아래위로 굽혔다 폈다 하면 그립을 놓치지 않기 위해 본능적으로 손바닥과 손가락을 그립에 밀착하게 됩니다. 더 중요한 건 그립을 잡은 손의 악력이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순간에 달라지면 안 된다는 거죠.”
중요한 건 일관성이라는 얘기다. 특히 꽉 잡아서 헤드 무게를 못 느끼는 것보다 지나치게 살살 잡다가 그립이 손바닥 안에서 제멋대로 노는 게 더 문제라고 그는 지적했다.
셋업 모양을 잡는 데만 2시간이 걸렸다. 등 뒤로 식은땀이 줄줄 흐르더니 어깨까지 뻐근했다. 그제야 테이크백(테이크 어웨이) 교정이 시작됐다. 백스윙의 첫 단추다. 그립을 잡은 손과 양팔이 만든 삼각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 클럽헤드를 일직선으로 뒤로 빼는 게 중요하다. 손목 각도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오른쪽 팔꿈치는 살짝 구부러지는 게 좋다. 테이크백 과정에서 손목을 오른쪽으로 돌리거나 아래위로 코킹하듯 움직이면 좋지 않다. 스윙 궤도가 복잡해지는 원인이기 때문이다. 테이크백 구간은 임팩트 구간과 동일하다.
“테이크백을 바깥쪽으로 지나치게 멀 ?빼는데, 이게 스윙의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또 다른 문제네요.”
잘못된, 혹은 잘못된 것으로 인식한 동작을 만회하려는 보상 동작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테이크백 연습을 하면서 거친 숨을 내쉬자 최 프로는 이미지 훈련을 권했다. “잘못된 스윙도 왜곡된 이미지가 머릿속에 굳어지면서 만들어지지만, 반대로 좋은 셋업과 테이크백도 이미지화하면 스윙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하긴 그랬다. 10년 동안 포로수용소에 갇혔던 한 골퍼가 평소 좋아했던 골프장을 상상 속에서 매일 18홀 돌았더니 수용소에서 풀려난 뒤 타수가 10년 전보다 더 좋아졌다는 일화도 있다.
“목표를 세우시죠. 헤드 스피드는 94마일에서 100마일 정도로 높이고, 정타율(스매시팩터)도 1.3에서 1.5까지 끌어올리는 것으로요. 이미지 훈련도 틈나는 대로 해야 해요.”
근력 강화도 허덕이는 참에 이미지 트레이닝까지…. 숙제가 하나 더 쌓였다. 골프 참 어렵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3062531_01.11065655.1.jpg)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