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제도에 대한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나온다. 화장품 업계가 문제를 제기한 기능성 화장품 인증제도도 마찬가지다. 15년째 제자리인 기준 탓에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국제적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효과·효능 광고조차 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근본적으로는 사전 인증제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미국 유럽연합 등의 사후관리 방식에서 보듯 화장품 효능을 사전에 심사하는 나라가 드물다. 정부는 신뢰도 제고 등 인증제도의 순기능을 강조하지만 기업 처지에서는 규제나 다름없다.
대통령 주재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누누이 지적됐음에도 비슷한 인증을 중복해서 받아야 하는 데다 매년 인증 사용료를 내야 하는 부담은 여전하다. 인증 때문에 세월을 다 보낸다거나 과도한 인증비용으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항변하는 중소기업이 속출한다. 어쩌다 소비자와 기업을 돕기는커녕 오히려 걸림돌로 변질하고 만 것인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의무 인증’은 그렇다치고 ‘임의 인증’이 갈수록 남발되는 것도 문제다. 2005년 51건이던 임의 인증이 올해 130건으로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부처마다 비슷한 인증이 수두룩하다. 임의 인증은 강제성이 없다지만 이를 취득하지 않으면 공공 조달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워 사실상 강제 인증이나 다름없다. 결국 ‘유사인증’ 남발로 인한 ‘과잉인증’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