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발굴 최우선 원칙은 '잠재성'
매년 영재-영아티스트-라이징스타 콘서트
1000여명 넘는 음악가 길러내
[ 김보영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2344621_AA.10746199.1.jpg)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2344621_AA.10746184.1.jpg)
○고 박성용 명예회장의 클래식 사랑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2344621_AA.10746301.1.jpg)
영재를 선발하는 금호의 제1원칙은 잠재성이다. 심사위원은 매번 바뀌지만 17년간 영재를 발굴하면서 이 원칙은 일관되게 지켜왔다. 박선희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팀장은 “매년 5월과 10월 금호 영재와 금호 영아티스트를 뽑을 때마다 심사위원들에게 ‘콩쿠르가 아니니 기교나 실수 여부보다 음악적 잠재력을 최대한 봐달라’고 요청한다”고 말했다. 다소 서툴러도 10년, 20년 뒤 크게 될 ‘떡잎’을 찾아달라는 주문이다.
1시간 분량의 독주를 할 역량이 있는지도 유심히 본다. 어린 ‘신동’이 숱하게 찾아오지만 짧은 곡만 소화할 수 있거나 긴 곡의 하이라이트 부분만 연주할 수 있으면 다음 기회를 기약하며 돌려보낸다. 박 팀장은 “실전 무대의 첫 번째 단계를 밟게 해주는 것이 금호의 영재·영아티스트 콘서트”라고 설명했다.
○콩쿠르로 잃었던 흥미, 콘서트로 찾기도
첼리스트 정명화,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지휘자 겸 피아니스트 정명훈으로 이뤄진 ‘정 트리오’ 이래 한국은 국제적 수준의 연주자 가뭄을 겪었다. 김용연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부사장은 “문화예술 소비에 익숙하지 않은 나라의 대표적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수요층이 얇았기 때문에 연주자 개인의 역량이 뛰어나거나 부모의 교육열이 남다르지 않으면 음악가가 성장하기 어려운 풍토였다는 것이다.
금호의 영재 육성은 시스템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다. 금호 영재-영아티스트-라이징스타 무대를 통해 꾸준히 금호문화재단과 교류하며 성장해도 좋고, 중도에 음악을 그만두거나 다른 재단의 도움을 받게 돼도 괜찮다는 것이 금호문화재단의 입장이다. 클래식 음악 연주층이 두터워지면 그걸로 족하다는 얘기다. 지난 10년간 금호 프로그램을 찾은 지원자들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다루는 악기도 피아노·바이올린 등 주요악기 위주에서 금관·목관악기 등으로 폭이 넓어졌다.
콩쿠르 입상을 위한 인재 양성은 지양한다. 박 팀장은 “콩쿠르는 연주자의 실력을 평가하는 것일 뿐 실제 음악가들이 필요로 하는 역량과는 차이가 있다”고 했다. 콩쿠르 출전 때문에 흥미를 잃었던 어린 연주자들이 금호에서 콘서트를 열고 다시 음악에 재미를 붙인 사례도 여럿 있다. 콘서트는 순위를 매기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시도를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발견하고 재미를 되찾기도 한다는 것이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2344621_AA.10746185.1.jpg)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
[강연회] 가치투자 '이채원.최준철.이상진' 출연...무료 선착순 접수중 (11.6_여의도 한국거래소)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