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사회에 걸맞은 인재상은 '간판보다 실력'입니다. 안전제일 직업관을 벗어던지고, 청년층이 잡프런티어의 주역이 돼야 한다는 인식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스펙초월 채용문화'로의 사회적 인식 전환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한경닷컴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는 롤모델이 될 전문 지식인과 맞춤형 전문대 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136376g_03.10662270.1.jpg)
[ 김봉구 기자 ] TV를 틀면 어느 채널에선가 쿡방(요리방송)이 나온다. 셰프들이 출연해 웃음꽃을 피우며 얘기를 나누고 틈틈이 요리를 한다. 여러 프로그램에 얼굴을 내비치는 셰프도 보인다.
스타 셰프 에드워드 권(44·사진)이 이런 셰프테이너(셰프+엔터테이너) 열풍에 쓴 소리를 던졌다. 지난 7일 서울 청담동 레스토랑 랩24에서 만난 그는 “셰프는 주방을 비워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지금 방송에 나오는 셰프들 중 절반은 이미 레스토랑을 떠나버렸다”고도 했다.
에드워드 권은 “미디어를 통해 셰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이를 계기로 음식 관련 시장이 만들어지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전제한 뒤 “다만 셰프가 예능에 얼굴을 내밀기 시작하고 ‘겹치기 출연’까지 하는 세태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예능인 이미지가 굳어진 셰프가 전문가로써 식문화에 대한 메신저(전달자)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136376g_05.10685428.1.jpg)
방송 선배이자 동료 셰프 입장에서 안타깝다고 했다. 에드워드 권은 “제가 먼저 경험한 힘든 시간을 다른 셰프들이 겪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지금처럼 셰프에 환호하는 분위기가 가라앉고 주방으로 돌아갔을 때 느끼는 상실감과 괴리감이 클 것이다. 미디어도, 셰프들 스스로도 절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스타 셰프의 기준은 미디어 출연이 아니라 고객 동원력과 사회적 역할이 돼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해외에선 셰프를 메인으로 한 디너쇼가 열린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수백명을 동원할 수 있는 셰프가 진짜 스타 셰프”라고 역설했다. 또 “외국에도 방송을 타 ?스타 셰프들이 있지만 어디까지나 본업에 충실하면서 음식과 요리에 대한 철학이나 메시지를 전파하는 케이스”라며 “토크쇼나 예능 프로에 나와 스타 셰프가 되는 문화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 "셰프는 현장경험이 최우선…가방끈 의미없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사진= 변성현 기자 byun84@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