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11.08

  • 9.91
  • 0.37%
코스닥

870.08

  • 5.37
  • 0.62%
1/3

[한경에세이] 진심을 나누는 명절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경에세이] 진심을 나누는 명절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박혜린 < 옴니시스템 대표 ceo@omnisystem.co.kr >


열이 아주 많이 났다. 몸도 가끔 살펴야 한다. 올해 필자의 키워드가 건강이었는데, 정작 건강을 소홀히 했던 것 같다.

몸이 아플 땐 방을 정리 정돈한다. 청소를 하다 보면 몸과 마음이 가지런해지는 것 같아 아픔을 잠시 잊게 된다. 방을 정리하다 보니 아끼는 옷의 단추 하나가 덜렁거리는 게 보였다.

반짇고리를 찾아 바늘귀에 실을 꿰었다. 눈이 침침해졌는지 잘 꿰어지지 않았다. 갑자기 눈물이 앞을 가렸다. 돌아가신 어머니 생각에 너무 슬퍼졌다. 어머니께서는 눈이 잘 안 보이신다며 내게 자주 실을 꿰어 달라 하셨다. 귀찮은 듯 바늘에 실을 꿰어 드렸던 기억이 났다. 몸이 아픈 것보다 어머니와의 기억이 필자를 더 아프게 했다.

어느덧 추석 연휴가 지났다. 서구에는 추수감사절이 있다. 서구에선 추수감사절에 수확의 결과물에 대해서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하지만 우리는 조상의 숨은 공덕까지 함께 기린다. 풍성한 곡식과 과일을 거둘 수 있는 이유를 비단 자신과 가족뿐만 아니라 조상의 은덕으로부터 찾는 것이다. 그래서 정성껏 차례상을 차린다. 햇곡식과 햇과일을 준비하고, 송편을 빚는다. 이것이 우리 고유의 한가위 차례 문화가 만들어진 배경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의 명절 문화는 너무 겉치레에 치우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에서 흔한 명절 풍경을 보면 더 큰 것, 더 비싼 것, 더 고급스러운 브랜드를 사고 싶어 한다. 우리는 평소보다 더 두꺼운 지갑을 준비해 간다. 고마움을 나누는 표식의 선물은 과시용으로 변질됐다.

명절 전후로 나오는 뉴스들을 보면 여느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범죄와 비리 관련 소식이 여전히 끊이지 않는다. 추석 때만이라도 나눔의 미덕이 보이길 바라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번 추석 연휴에도 그건 마찬가지였던 것 같다.

명절엔 진심을 주고받아야 한다. 우리 옆 사람을 형식적인 태도가 아니라 애정을 가지고 대해야 한다. 진정으로 나눔을 실천해야 한다. 그렇지만 격식만을 숭배하고 있는 우린 오히려 명절 연휴가 지나고 나면 명절 후유증이란 큰 병을 남기고 만다.

일상으로 돌아오면서 다시 한 번 진정한 추석의 의미를 되새겨 보자. 추석에 함께 나눈 고마움을 떠올리자. 그 마음이 우리의 후손들에게도 전해질 것이다.

박혜린 < 옴니시스템 대표 ceo@omnisystem.co.kr >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