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1854611_AA.10529695.1.jpg)
‘프랑스처럼 교과 과정에 철학 수업 도입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56%인 88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44%인 69명은 반대했다. 철학수업의 도입에 대한 찬성률이 그렇게 높지 않았다.
‘어느 나라가 가장 뛰어난 교육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학생들은 북유럽(56%), 이스라엘(21%), 서유럽(14%), 미국(7%), 인도(2%) 순으로 좋은 인상을 가졌다.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을 물은 결과, 학생 중 45%가 ‘학력과 스펙 위주인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인식했다. 주입식 교육이라는 목소리도 19%나 됐다. 국어 영어 수학 중심의 교육에 대한 반감도 15%로 높았다. 독서시간이 너무 적다는 지적도 15%나 돼 학생들이 독서시간 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교육 의존 비율의 증가(6%)라는 지적도 높게 나왔다.정부가 했던 교육성과 중 가장 잘된 사례로 학생들은 인성 교육(43%), 절대평가제(30%), 문이과 통합 추진(21%)을 꼽았다. 집중 이수제, 자유학기제, 특목고 도입은 모두 2%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87%(137명)가 쉬운 수능에 반대했고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써야 하는가’라는 마지막 질문에 ‘그렇다’가 45%로 조사되었다.
북유럽과 이스라엘로부터 우리가 배워야하는 것은 토론식 교육이다. 이런 교육에는 철학과정이 깔려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추구하는 교육에는 암기위주의 교육이 배제된다. 위 설문조사를 통해 이같은 학생들의 시각을 읽을 수 있었다.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인성교육, 개방식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조유상 생글기자(김천고 1년) choyusang@naver.com
한국정치학회에 참석한 뒤 얻은 것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1854611_AA.10529649.1.jpg)
이어 장준혁 학생은 ‘한미 원자력 협정’에 대해 발표했다. 한국이 왜 원자력 주권을 가질 수 없는지에 대한 정리가 돋보였다. 미국이 원자력을 통제하려는 정치적 파워게임도 잘 설명했다고 생각된다. 김민아 학생은 ‘위안화가 세계 기축통화로 가능한가?’에 대해 의견을 내놨다. 중국이 급성장해 G2의 위치까지 올라간 상황과 그 이후 나타난 중국의 발언권강화는 위안화의 기축통화화로 이어졌다는 지적은 옳아보였다. 위안화는 여전히 불안한 상태다. 얼마전 위안화 평가절하 등을 거치면서 위안화의 위상은 많이 추락했다. 수출이 꺾이자 중국은 체면도 돌보지 않고 평가절하 조치를 세번이나 취했다. 기축통화가 되려면 경제력이 막강해야 한다. 기축통화 국가가 되려면 단순히 덩치만 커서는 안된다. 투명성, 민주성, 개방성도 가져야 한다.
이런 면에서 중국은 아직 멀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학생들은 배경지식이 부족했지만 교수들이 내용을 알기 쉽게, 자세히 설명해주어서 큰 도움이 됐다. 학생들이 많은 노력해 열심히 준비했다는 느낌을 받았다‘신선한 충격’ 이었다. 학교로 돌아가면 이 충격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고 본다.
김택진 생글기자(경주신라고 2년) taek9808@daum.net
‘학교간 협력교육과정’에서 배운 국제금융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1854611_AA.10529703.1.jpg)
연수는 김종희 교감선생님의 말씀으로 시작됐다. “거점학교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많은 것을 얻기를 바란다”며 “이번 경험이 진로결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감 선생님은 “일정이 끝난 뒤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당부했다.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김형진 교수의 초청 강의가 이어졌다. 강의 주제는 ‘국제금융에 대한 이해’였다. 국제경제 수업은 단순히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니라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모두 실시한다. 석차등급은 산출하지 않지만, 일정 수준에 도달할 경우 생활기록부에 교과목, 원점수, 과목평균, 과목표준편차와 함께 ‘이수’로 기록된다. 국제금융을 배울 기회가 없던 학생들은 용어에 낯설어 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국제금융이 국내 금융처럼 가까이 있다는 강의내용은 학생들의 시각을 넓혀 주었다. 미국과 유럽의 금융변동이 즉각 岵막?한국과 중국, 일본에 영향을 주는 글로벌 시대에 국제금융에 대한 바른 이해는 필수다. 지구촌 경제라는 말이 바로 국제금융의 다른 말이라는 강의내용도 신선했다. 국제간 자금흐름과 달러 가치의 변동이 대한민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웠다. 한국에 투자된 자금, 미국에 투자된 한국자금은 국제금융의 흐름에 따라 들어오고 나갈 수도 있다. 글로벌 금융시대다. 국제금융을 대학 전공과목으로 정해볼까 하는 생각을 해 봤다.
최인향 생글기자(여의도여고 2년) ffcih@naver.com
北 도발에는 정공법으로 대응해야 성과내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1854611_AA.10529633.1.jpg)
이 사태를 종식시키기 위해 남북 고위급 정상회담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남한 대표로서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한 대표로서는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대남비서가 대동했다.
양측 모두에게 한 치도 양보할 수 없는 민감한 현안이었기에, 회담은 나흘간 지속됐다.
치열하게 전개된 본 회담은 북측이 남한에게 사과성 발언을 하며 막을 내렸다. 근래에 남한이 최초로 북한의 사과와 재발 방지 약 湛?받아낸 것이다. 서해안 교전, 천안함 폭침 때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한 누리꾼은 이번 회담의 성과를 두고 “역사의 길이 남을 사건”이라 평하였다. 또한 남측 대표단은 본 회담에서 뛰어난 외교력을 보여주었다. 북한은 준전시 상태를 즉시 해제하고, 남한은 대북 확성기 가동을 중지했다. 이산가족의 만남도 올 추석엔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 합의 하에 공동 발표한 남북 공동보도문 6개항이 때아닌 비난 여론에 휩싸였다. 남북 관계를 살리려는 노력은 보이지만 도발과 관련된 보도문 내용의 모호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보도문 제 2항에서는 ‘유감’이라는 의사는 밝혔지만 공식적인 사과 언급은 되지 않았으며 3항에 언급된 ‘비정상적인 사태’의 경우 너무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므로 의미를 한정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북한이 ‘존엄’을 내세웠던 과거 행보를 감안할 때 사과와 같은 치욕적 표현은 자제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또한 북한이 또다시 도발 조짐을 보일 때 ‘비정상적인 사태’라는 장치가 있기 때문에 도발에 상응하는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최재원 생글기자(경주문화고 2년) pmi8958@naver.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