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그때 그 지검장은 왜 그랬을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그때 그 지검장은 왜 그랬을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노경목 지식사회부 기자) 최근 사석에서 만난 한 고위 공무원이 자신이 얼마전 지방에서 잠깐 근무할 때의 일이라며 해준 얘기입니다.

해당 지역 지방경찰청장과 저녁을 먹을 일이 있었는데 1차만 끝내고 자리를 파하더라는 겁니다. 한창 화기애애했던데다 홀로 지방에 부임해 돌아가면 빈 관사 밖에 없는 이 고위 공무원은 “맥주 한잔 하고 가자”고 잡았습니다. 하지만 지방경찰청장은 끝끝내 거절하며 “여기서는 몸조심하는게 좋을 겁니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지방경찰청장이 좀 더 자세히 해준 말이 재미있었습니다. 지역마다 있는 국가정보원 직원들의 업무 중 하나가 고위 공직자들의 비위 사실을 조사하는 건데 특히 저녁시간의 동선이 주된 보고거리가 된다고 합니다. 노래방 등 유흥업소는 물론 골프연습장을 자주 다녀도 곤혹을 치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하네요. 국정원 직원 입장에서는 내용에 따라 특진까지 가능해 더욱 눈에 불을 켜고 좇아다닌다는 것이 이 지방경찰청장의 설명이었다고 합니다.

이후 이 고위공무원도 업무가 일찍 끝나는 날이면 홀로 관사에 앉아 ‘자신과의 싸움’을 해야 했다고 합니다.

지난해 공공장소에서 음란행위를 했다 물러난 김수창 전 제주지검장(사진)의 뉴스를 접했을 때 이 고위공무원은 자신이 지방에서 일할 때를 떠올렸다고 합니다. “가족과 떨어져 혼자 지방에 가 있는데 스트뭣볐?긴장을 풀 기회도 사실상 박탈당하면 사람이 이상해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것입니다.

물론 모든 고위공무원들이 그런 유혹에 빠지는 것도 아니고, 공직 기강을 세우기 위한 감찰활동 자체가 문제라고 보기 힘듭니다. 다만 김 전 검사장의 사건이 일어났던 당시 “성공가도를 달리던 검사가 왜 그런 행동으로 한순간에 나락에 떨어졌을까”라는 질문이 여러 자리에서 화제에 올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내용도 하나의 설명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끝)
/autonomy@hankyung.com



2015 대한민국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평가대상...종합대상 'NH투자증권'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한경+는 PC·폰·태블릿에서 읽을 수 있는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입니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