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506/2015061566341_AA.10103418.1.jpg)
산업화, 도시화에 따라 물도 상품이 됐다. 값도 천차만별이다. 석유보다 비싼 지구 건너편 알프스생수가 들어오는가 하면 지역별로 청정브랜드 경쟁도 치열하다. 국내 생수시장은 지난해 6000억원대로 커졌다. 연간 10% 안팎의 고성장세라니 연간 1조원 시장도 머지않았다.
그래도 일상의 생활용수는 말 그대로 ‘물값’이다. 한국의 수돗물은 식수로도 나쁜 편 ?아닌데, 값이 ㎥당 660.4원(2013년·전국평균)이다. ㎥당 849.3원인 생산원가에도 훨씬 못 미친다. 공공요금이라는 수돗물값에는 김선달 시대의 물값 관념이 남아 있는 셈이다. 지자체들의 밑지는 계산 덕에 물값은 아직 국제적으로도 싼 편이다. ㎥당 일본이 1277원, 미국 1540원, 프랑스 2521원, 영국 2543원, 독일 3355원, 덴마크 4157원이다.
하지만 서로 눈치만 볼 뿐 어느 시·도인들 선뜻 정당한 값을 매기려 들질 않는다. 1조3000억원으로 늘어버린 상수도 부채도 언젠가, 누군가가 갚아야 할 비용이다. 그래도 전기·지하철 요금처럼 코스트 개념이 작동 않는 영역이다. 내 임기 중엔 인상하지 않겠다는 단체장들의 인기영합적 님트(NIMT·not in my term) 현상도 한몫했다. 그나마 부산 대구 광주 제주가 올해부터 매년 3%씩 올린다니 비용구조는 아는 모양이다.
원가로 보면 수돗물이 실상 상당부분 수입품이란 점도 간과된다. 물만 국산일 뿐 정제하고 수도관을 설치해 보내는 모든 과정에 필수적인 에너지 자체가 수입품이다. 온수가 달러로 데운 물인 것과 같다. 장기간의 가뭄에도 아직까지 언제나, 어디서나 콸콸 쏟아지는 ‘유비쿼터스 수돗물’이 된 데는 댐과 보 건설 등 가려진 코스트도 많다. 이 점만 잘 인식해도 가뭄의 교훈은 충분하다.
허원순 논설위원 huhws@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4개월만에 수익률 100% 기록한 투자 고수들의 열전!! (6/19일 마감)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