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34

  • 33.10
  • 1.32%
코스닥

696.83

  • 19.82
  • 2.93%
1/3

[메르스 사태] 메르스 확산시킨 3대 요인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후진적 의료시스템

(1) 환자 맘대로 병원 옮겨다니는
부실 의료체계가 '메르스' 키워

(2) 환자 구분없는 응급실
호흡기·외상환자 등 섞여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돼

(3) 허술한 감염병 관리
관련 위원회 있는 병원 68%, 관리비용 정부 지원도 없어



[ 고은이 기자 ]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에 감염된 병원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다. 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한 병원은 9일 서울아산병원 여의도성모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 등 3곳이 추가돼 9곳으로 늘었다. 메르스가 ‘의료기관 내 감염’이란 제한된 형태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확진 환자는 이날 95명으로 증가해 100명 돌파를 눈앞에 뒀다.

한국 의료체계의 3대 후진적인 요인이 병원 내 감염을 확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환자가 여러 병원을 돌며 입퇴원을 반복해도 제약이 없다. 또 가벼운 감기환자도 무분별하게 대형병원 응급실부터 찾는다. 응급실은 항상 환자로 붐비지만 병원들은 감염병 관리에 신경을 쓰지 않는 구조다.

의료전달체계 ‘미비’

서울에서 메르스 환자가 속출한 것은 14번 환자가 경기 평택의 한 병원에서 자진 퇴원하고 삼성서울병원으로 옮기고 난 뒤부터다. 이 환자는 고속버스를 타고 서울로 올라온 뒤 호흡곤란 증세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지역 병원으로부터 위급한 환자를 받을 때 원칙은 주치의 간 얘기가 끝난 뒤에 조심스럽게 이송하는 게 맞는데 이 환자는 스스로 판단해 삼성서울병원으로 혼자 찾아왔다”며 “지역 병원에서 제대로 된 절차를 통해 이송됐다면 메르스에 더 빨리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병원에서 대형병원으로 제대로 환자 연결이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의원-병원-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으로 이어지는 국내 의료전달체계는 선진국과 달리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구조다. ‘슈퍼 전파자’ 1번 환자도 평택성모병원에서 더 큰 병원에 가겠다며 무작정 혼자 퇴원했다.

선진국에선 1차(동네의원) 2차(중소병원) 3차(대형병원) 의료기관의 역할분담이 분명하다. 일본에서는 위중한 환자의 경우엔 재원 병원 의사의 지시와 이송 병원 의사의 준비가 있어야만 병원을 옮길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은 경증 환자라도 맘만 먹으면 얼마든지 대형병원에 갈 수 있다. 환자가 원하기만 하면 감염병 환자도 입퇴원에 제약이 없다.

구역 분류 없는 응급실

부실한 의료전달체계 탓에 많은 환자는 대형병원 응급실로 무분별하게 쏠린다. 그럼에도 현장에선 환자가 제대로 분류되지 않는다. 호흡기 환자, 외상환자, 소아환자가 모두 뒤섞여 있다. 병상이 모자라 환자와 보@微?의자나 바닥 등에 앉아 무작정 병상이 나길 기다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메르스 확진 환자 상당수도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병상이 나오길 기다리는 동안 감염됐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상당수가 대기시간이 길었던 환자나 보호자”라고 말했다.

병상 수에 비해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얼마나 많은지 보여주는 응급실 과밀화지수를 보면 심각성을 쉽게 알 수 있다. 과밀화지수가 100이 넘으면 병상 수보다 환자가 많다는 것으로, 국내 대형병원 대부분이 100을 훌쩍 넘는다. 서울대병원(175.2) 경북대병원(154.0) 서울보훈병원(138.5) 삼성서울병원(133.2) 전북대병원(130.7) 등의 순이다.

유명무실한 감염병 관리규정

병원 내 감염병 관리 체계도 부실했다. 현재 의료법에서 200병상 이상 의료기관은 감염예방 인력과 시설을 두고 감염병관리대책위원회를 마련하도록 규정해놓고 있다. 하지만 실태조사 결과 실제로 감염활동을 시행한 병원은 68%밖에 되지 않는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의료법에 감염병 관리 규정이 있긴 하지만 안 지켜도 별다른 페널티가 없다”고 했다.

병원에 감염병 관리비용을 과다하게 부담시키는 점도 관리 실패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제모기나 일회용 날 등 감염병 관리 소모물품은 물론 감염자 사용 1인실 비용 등을 병원이 따로 부담해야 하는 게 현실이다. 한 중소병원 관계자는 “감염병 관리에 신경을 쓰려 해도 비용은 드는데 보전이 안 되니 감염병 환자 파악이나 관리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강연회_무료] 선강퉁 시대,중국주식 투자전략 대강연회 (24일_서울 여의도 개최) 접수중! 中 현지 애널리스트 초청!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