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광진의 중국 이야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본서명을 계기로 양국 기업을 위한 상호 전용공단 조성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한중 FTA 본서명이 이뤄진 1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옌타이 중한산업단지 설명회에서 만난 멍판리 옌타이 당서기는 새만금개발청과 각기 추진중인 중한산업단지 조성에 서로 도움을 주기로 협력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달 27일 옌타이시와 새만금개발청은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옌타이시에 조성하는 중한산업단지에 투자할 한국기업을 찾을 때는 새만금개발청이 돕고,새만금개발청이 조성할 한중산업단지에 입주할 중국기업을 찾을 때는 옌타이시가 지원한다는 겁니다.
이에 앞서 한국경제신문 지난달 28일자 ‘대구에 중 기업 전용공단 생긴다’ 에 나간 대로 옌청시와 한국의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도 이 같은 방식으로 중한산업단지 조성에 협력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한•중 투자 교류를 위해 방한한 저우샤오취안 옌청시 부시장은 지난달 27일 기자와 만나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에 위에다그룹 같은 옌청시의 기업들이 투자하는 중국 전용공단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었지요. 중국 장쑤성 옌청시 산하 국유기업인 위에다그룹은 기아자동차의 합작 파트너로 자동차 섬유 에너지 건설 유통 금융 등에서 30여개 계열사를 두고 있습니다. 지난해 1110억위안(약 19조800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저우 부시장은 지난달 26일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김연창 대구시 부시장, 주낙영 경상북도 부지사와 한•중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도건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은 3월13일 옌청시를 방문해 궈위성 옌청경제기술개발구 관리위원장과 한•중 경제협력단지 공동 유치를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구요.
옌타이시는 시 동부와 서부에 중한산업단지를 조성중입니다.총면적이 300㎢에 달합니다.여기엔 경제기술개발구도 포함돼있습니다.공기가 좋은 동부지역에는 해양산업을 비롯해 금융 전자상거래 문화 의료 양로 등 서비스업종 위주로 한국기업을 유치한다고합니다.서부지역에는 산업용 로봇 의료로봇 등 첨단장비제조업과 신에너지와 에너지절감 환경보호산업,전자정보산업 등을 유치한다는 구상입니다.
멍 서기는 “모태펀드 성격인 정부의 중한산업단지발전기금(10억위안)을 기초로 다른 지방정부 및 금융기구 대기업 등과 손잡고 중한산업투자기금을 만들어 산업단지 기초시설 건설 등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소개했습니다.특히 상하이 텐진 광저우 푸젠등 중앙정부가 비준한 4개 자유무역구의 정책을 벤치마킹한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자유무역구 수준으로 서비스업 등이 개방될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
옌타이시는 중국 기업의 한국 진출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천신즈 옌타이시 상무국 부국장은 옌타이시는 기계 화학 식품 전자정보 분야 대기업들이 한국내 중국전용공단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멍 서기는 이와 관련해 과거에는 외자유치만 했지 ?이젠 해외투자도 적극 확대하고,무역도 과거엔 수출 위주 였지만 이젠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소비재나 산업에 필수적인 자본재를 적극 수입하는 것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이 한국 내 한•중 산업단지에 투자하는 것을 돕기 위해 투자금액의 일부를 지원하는 해외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중한산업단지 설립이 잇따르는 것은 지난해 7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했을 때 박근혜 대통령에 제안해 합의한 데 따른 겁니다.당시 두 정상은 첫 사례로 새만금에 중국 전용공단을 조성하기로 했지요. 이후 중국 정부는 옌타이 옌청 옌볜을 한중산업단지 후보로 지정했습니다.하지만 올해초 왕양 중국 부총리가 방한,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옌볜이 빠지고 광저우가 들어갔습니다. 광저우는 왕양 부총리가 당서기를 지낸 광둥성의 성도 입니다.양국 정부는 한중FTA 체결을 계기로 한중투자협력위원회 등을 통해 한중산업단지 지정과 관련해 후속 논의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과거 중국의 지방정부가 한국 기업을 맹목적으로 유치하던 시절에도 한국기업 전용 공단 같은 개념의 프로젝트가 진행된 적이 있습니다.하지만 이름 뿐 별다른 특색이 없어 대부분 흐지 부지 됐지요.하지만 최근 나타나는 중국기업 전용 해외공단이나 중국내 한국기업 전용공단은 과거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무역마찰 해소,해외 우수인재 확보,현지시장 공략 확대,일자리 창출 통한 소프트파워 강화 등을 이유로 2006년부터 해외에 중국 전용공단 조성을 적극 추진해왔습니다.한국과 상호 산업단지 조성에 나서는 것도 이 같은 흐름의 연속선상에 있습니다. 기업의 동반진출이 개별 기업 진출보다 해외 리스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도 해외에 중국전용공단 조성 배경중 하나라고 중국언론들은 전합니다.
인도 벨라루스 이디오피아 인도네시아 등 100여 곳에 이미 중국전용공단이 조성되고 있습니다.시진핑 정부가 강하게 밀고 있는 일대일로(일대일로,육해상실크로드)프로젝트가 해외에 중국 기업 전용공단 설립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한중FTA와 일대일로가 한국내 중국기업 전용공단 확산으로 이어져 한국 지방정부에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중국전문기자 kjoh@hankyung.com
한경+는 PC·폰·태블릿에서 읽을 수 있는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입니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