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천자칼럼] 중립국행 포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최인훈 소설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은 결국 ‘크레파스보다 진한’ 남중국해에 몸을 던진다. 남북의 틈바구니에서 방황하다 제3의 길을 찾아 중립국으로 가던 비운의 전쟁포로. 훗날 작가가 “다시 쓴다면 그를 투신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지만, 근대사의 격랑은 앞길 창창한 청년의 꿈을 심해로 가라앉히고 말았다.

현실이 소설보다 기구할 때도 있다. 6·25 때 제3국을 택한 전쟁포로 76명은 우리 근대사의 조난자다. 포로수용소에서조차 친공 쪽 막사에서는 반공포로가 쥐도 새도 모르게 없어지고 반공 쪽 막사에서는 빨갱이 사냥이 무시로 벌어졌으니 오죽했을 것인가. 전쟁 없는 땅을 찾아 중립국 인도로 떠난 이들의 여정은 북·남미까지 이어졌다.

인민군 소좌 출신인 주영복 씨의 일생은 7개의 국가(國歌)로 축약된다. 일제 때 태어나 일본 국가를 배운 그는 소련 군정 때 소련 국가를 익혔고, 인민공화국 수립 후 ‘아침은 빛나라’를 불렀으며, 포로 때는 ‘동해물과 백두산’을 습득했다. 이후 인도 국가를 따라했고 브라질 국가를 합창하며 남미에 발을 디뎠다. 미국에 정착한 뒤에는 ‘성조기여 영원하라’를 불렀다. 그는 이 나라들을 전전했다.

아르헨티나로 간 김남수 씨는 ‘조센진’이라고 비하하는 일본인을 살해해 27년간 감옥과 정신감호소에 갇혔다. 40년 만에 조국으로 돌아온 뒤에도 갈 곳이 없어 음성 꽃동네에서 지내다 생을 마감했다. 멕시코로 가려다 실패하고 인도에 남아 양계장 사업으로 성공한 현동화 씨는 그래도 운이 좋은 편이었다.

브라질에서 농사를 시작한 김명복 씨의 사연은 더 애잔하다. 그는 남한 출신 이민자들과도 어울릴 수 없었다. 그저 인민군 출신일 뿐이었다. 인민군 사진병이었던 사람은 “모두가 싫다”며 스스로를 고립시켰다. 엊그제 AP통신이 60여년 만에 귀향하는 김명복 씨 등 ‘76인의 포로’를 조명하면서 “고향의 부모님 산소와 옛 교회에 가보고 싶다”는 울먹임을 전했다. 하지만 북한 땅은 아직 ‘잿빛 공화국’이니 그의 슬픔을 무엇으로 달랠까. 역사의 수레바퀴는 너무도 잔혹하게 이들 이념의 표류자들을 짓밟았다.

≪광장≫ 1961년판 서문이 새삼 떠오른다. ‘우리는 분수가 터지고 밝은 햇빛 아래 뭇 꽃이 피고 영웅과 신들의 동상으로 치장이 된 광장에서 바다처럼 우람한 합창에 한몫 끼기를 원하며 그와 똑같은 진실로 개인의 일기장과 저녁에 벗어놓은 채 새벽에 잊고 간 애인의 장갑이 얹힌 침대에 걸터앉아 광장을 잊어버릴 수 있는 시간을 원한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