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05.32

  • 4.15
  • 0.15%
코스닥

868.36

  • 3.65
  • 0.42%
1/2

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아세안에 대한 잘못된 인식 바꿔 놓겠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아세안에 대한 잘못된 인식 바꿔 놓겠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10월 아세안 연결성 포럼 개최
교통·ICT 등 ADB와 공동사업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도 추진



[ 전예진 기자 ] “동남아시아 대신 아세안으로 불러주세요.”

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사진)은 27일 “동남아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한·아세안센터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과 교류 활성화를 위해 2009년 3월 설립된 정부 간 국제기구다. 김 총장은 “아직도 우리 사회는 ‘동남아’ 하면 불법체류 근로자나 결혼이주여성을 떠올린다”고 아쉬워했다. 지난 4일 취임 직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3개국을 둘러본 김 총장은 “앙코르와트 유적을 보면서 아세안의 저력을 느꼈다”며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알면 동남아를 낮춰보는 우리의 인식이 얼마나 잘못됐는지 깨닫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고대 문명의 발상지인 중국과 인도가 일어선 것처럼 아세안도 성장 잠재력이 크다”며 “우리가 마음을 열면 협력할 수 있는 분야가 많다”고 했다. 아세안은 한국과 역사·정치적 갈등 및 영토 분쟁이 없고 불교를 바탕으로 한 종교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데다 경제부문에서도 경쟁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라는 설명이다.

김 총장은 ‘열린 강좌 시리즈’ 등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아세안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우리 기업들의 아세안 진출을 돕기 위해 오는 10월 ‘아세안 연계성 포럼’도 연다. 아세안 회원국 간 물리적·제도적·인적 분야를 연결하는 취지에서 기획한 행사다. 김 총장은 “중국과 일본이 시도하지 않은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강점을 갖고 있는 교통,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의 협력 사업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올해는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아세안 회원국의 정책 결정자, 아시아개발은행(ADB)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전년보다 규모가 커졌다. 그는 “한국이 음식, 문화, 언어가 다른 아세안 10개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상징적인 사업”이라며 “센터의 대표 프로젝트로 키우겠다”고 했다.

김 총장은 국제기구와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그는 “이번에 ADB 필리핀 본사를 방문했을 때 청년교류사업을 함께하자는 제안을 받았다”며 “올해 말 아세안과 한국 대학생의 워크숍을 시작으로 차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김 총장은 “올해 130여명에서 시작해 매년 인원을 늘려 중요한 외교자산으로 만들 것”이라고도 했다. 앞으로 센터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단편적이고 잡화식으로 운영되는 사업을 정리하고 제한된 자원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고차원적인 프로젝트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센터가 진행하는 사업이 70~80개로 너무 많다”며 “아세안의 철학과 방향에 부합되는 사업을 장기적으로 추진하고 운영 수준을 질적으로 높여 직원들이 보람을 느끼도록 하고 싶다”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