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언론 공개 이후
문화재 지정 계속 논란
진품이라면 '국보' 가능
[ 박상익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2/2015021257481_AA.9598310.1.jpg)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라는 주장이 제기된 증도가자(證道歌字)에 대해 문화재위원회가 문화재 지정절차를 밟는다. 문화재위원회는 12일 서울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동산분과위원회를 열고 증도가자에 대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조사를 시작하기로 했다. 이 결정으로 증도가자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이 조사 결과에 따라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지정조사에는 3명 이상의 관계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
남권희 경북대 문헌정보학과 교수팀은 최근 “증도가자 14점에서 채취한 먹의 탄소연대를 측정한 결과 이 먹들이 1033년에서 1155년 사이에 만들어졌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보고서를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제출했다. 연구팀은 “전문가 32명이 참여해 조사 대상 109개 활자 중 62점이 증도가자, 나머지 47점은 고려시대 주조 활자인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로부터 ‘증도가자 輸角劇鄕떻?rsquo; 연구용역을 발주받아 이번에 결과를 내놓았다.
증도가자는 고려시대 선불교 해설서인 ‘남명화상찬송증도가’의 목판본(1239년)을 찍기 전 주자본(금속활자본)을 인쇄하는 데 쓰인 활자로 알려졌다. 이것이 국내외 학계의 공인을 받으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직지심체요절(직지심경·1377년)보다 138년 이상 앞선 세계 최고(最古)의 인쇄 문화재가 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02/2015021257481_01.9600254.1.jpg)
문화재위원회가 증도가자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를 시작하기로 함에 따라 증도가자가 국보가 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분과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제출된 연구 용역 보고서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산문화재분과위원장인 박문열 청주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3명 이상이 아니라 수십 명이 지정조사를 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남 교수는 “서지학, 비파괴조사, 탄소연대 측정 등 여러 전문가들이 각자 분야에서 연구해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지정조사자들이 보고서를 만들면 문화재청을 거쳐 문화재위원회에 올려진다. 문화재위원들은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문화재 지정 여부를 심의한다. 다만 지정조사자를 언제, 누구로 정할지는 결정하지 않았다. 현 문화재위원의 임기가 4월 말에 끝나는 만큼 그 이후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된다 하더라도 언제 보고서가 만들어질지도 미지수다. 윤순호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장은 “외국에서 문제 제기를 해도 대응할 수 있을 정도로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선화 문화재청장은 “세계 문명사를 바꾸는 일이기 때문에 조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며 “편파적인 시선으로 우리 것이 죽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
[무료접수중] 2015 한경 중국주식 투자전략 대강연회 (여의도_3.5)
[알림] 슈퍼개미 가입하고 스타워즈 왕중왕전 함께하기
[언론사최초] 중국 증권사 애널리스트 특별초청! 중국 주식투자 강연회 무료접수!!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