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태형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11/2014111018851_AA.9270111.1.jpg)
현재도 영국을 제외한 유럽 대륙에선 대부분 도서정가제를 실시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들 중에는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스위스 네덜란드 등 14개국이 시행하고 있다.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영미권 국가들은 ‘자유 가격제’다. 박익순 출판저작권연구소장은 “프랑스와 독일 등은 도서정가제를 지속 가능한 출판산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정책 도구로 보고 있다”며 “반면 영미계 국가들은 고정 가격이라는 개념 자체를 자유시장경제의 ‘경쟁 법률’에 모순되는 것으로 간주한다”고 설명했다.
도서정가제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국가는 발행 후 일정 기간 동안 할인율을 제한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독일은 발행 후 18개월 동안 할인을 아예 못하도록 규정했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은 발행 후 2년간 5% 이내에서 할인을 허용한다.
한국도 비슷한 형태다. 국내 도서정가제는 2002년 7월 ‘출판및인쇄진흥법’에서 첫 법제화한 후 여러 번 개정을 통해 현행 정가제로 정착됐다. 처음에는 발행 후 2년 미만 도서에 정가제를 적용했고, 온라인에서만 한시적으로 5년간 할인 10%를 허용하고 오프라인 서점에선 할인을 금지했다.
온라인 서점에서 거의 모든 신간을 10% 할인 판매하기 시작한 것도 이즈음부터다. 2007년 7월에 오프라인 서점에도 10% 할인이 허용되고 적용 기간이 2년에서 18개월로 줄었다. 당시 영세했던 온라인 서점을 보호·육성한다는 취지였다. 이런 온·오프라인 간 차별적인 제도 운영은 이 기간 예스24 인터파크 알라딘 등 온라인 서점들이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급성장하는 데 일조했다.
2005년엔 실용도서, 2007년엔 초등 학습서가 정가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고, 2010년 판매가격 일부 적립(마일리지) 등 간접 할인을 9%까지 허용하는 조항이 들어가면서 ‘최대 19% 할인’의 현행 정가제가 완성됐다.
하지만 현행 도서정가제는 할인율이 다른 국가보다 높고, 정가제 적용 예외가 많아 경쟁적 염가 할인 판매가 성행함에 따라 출판생태계를 붕괴시켜 왔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할인율을 15%로 줄이고, 정가제 적용 예외 대상을 대폭 축소하는 새 개정 법률이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했다.
대부분의 국가와는 달리 발행 후 적용 시한을 두지 않고 18개월이 지난 구간에도 정가제를 적용하는 것이 이례적이다. 다만 구간의 가치에 따라 출판사가 정가를 다시 매길 수 있게 했다. 온라인 서점에서 성행하는 구간의 ‘광폭 할인’ 판매 관행을 없애 온·오프라인 서점 간 구간의 가격 차이를 줄이려는 취지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
[한경닷컴 하이스탁론 1599 - 0313] 또 한번 내렸다! 최저금리 3.2%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닷컴 캡스탁론 1644 - 1896] 한 종목 100% 집중투자가능! 최고 3억원까지 가능!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