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디플레이션 논문 곧 완성
[ 장진모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10/2014103129531_AA.9237234.1.jpg)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IMF본부에서 만난 윤종원 IMF 상임이사(사진)는 지난 2년간의 소회를 이렇게 말했다.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과 청와대 경제비서관을 지낸 윤 이사는 10월 말로 임기 2년의 이사직에서 물러나 호주 쪽으로 넘겨준다. 윤 이사는 “24명으로 구성된 IMF 이사회는 힘이 약하면 설움을 당하는 국제사회의 냉엄한 현실 그 자체”라며 “과거에는 한국의 주장이 먹히지 않았지만 경제력이 높아지면서 이제는 한국이 제기한 거시건전성 정책의 필요성을 다른 선진국들이 받아들일 정도로 영향력이 커졌다”고 말했다.
윤 이사는 대표적인 사례로 자본통제 기준을 들었다. IMF는 과거에 자본통제를 반대했는데 2012년 말 한국 정부가 급격한 자본유출이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며 자본통제 조치는 합리화돼야 한다고 주장하자 결국 이를 인정했다는 것이다. 그는 또 “아시아·태평양지역을 총괄하는 아태국장을 한국인이 맡을 정도로 우리의 위상이 높아졌다”며 이창용 국장의 능력이 뛰어난 것도 있지만 한국 경제가 뒷받침됐기에 가능하지 않았겠냐고 했다. 윤 이사와 이 국장은 인창고와 서울대 경제학과 동기동창이다.
윤 이사는 그러나 “여기서 안주하지 않고 경제 성과를 넘어서 좀 더 강하고 세련된 나라를 만들어 글로벌 경제의 질서를 만드는 룰 메이커 역할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9일 IMF본부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 올리비에 블랑샤르 수석이코노미스트, 이사진이 참석한 가운데 윤 이사의 환송행사가 열렸다.
윤 이사는 고별 연설을 하면서 “인구구조 변화가 디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문을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해 주위를 깜짝 놀라게 했다. 그는 “블량샤르와 이 문제를 놓고 서너 번 격론을 벌였는데 실증이 없다면 인정할 수 없다고 해 실증분석 논문을 준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의 사례를 실증분석해 인구 고령화가 성장잠재력을 둔화시키고, 특히 물가하락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내용으로 내달 중순께 완성된다고 한다. 윤 이사는 호주의 신임이사가 부임하는 오는 12월 초까지 이사 대행으로 근무할 예정이다. 윤 이사는 1997년부터 지금까지 IMF의 이코노미스트와 한국대표 선임자문관 등으로 총 7년3개월을 IMF에서 일했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