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동휘 기자 ] ‘제1회 한국 기금·자산운용 대상’ 공제회 부문 1위에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선정됐다. 심사 대상 7곳 가운데 유일하게 장기투자정책(IPS)을 마련해 놓고 있는 등 기금운용 체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5/2014052713961_AA.8716346.1.jpg)
평가 결과 ‘우수’ 등급을 받은 곳은 자산 규모 22조원인 교직원공제회가 유일했다. 군인·지방행정·과학기술인공제회 3곳이 ‘양호’를, 나머지 경찰·소방·노란우산공제회는 개선돼야 할 점이 많거나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미흡’으로 평가됐다. 공제회 심사를 맡은 오승현 서울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자산운용 시스템 구축과 성과 및 리스크 관리 면에서 교직원공제회는 국민연금에 버금갈 정도로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사회간접자본(SOC), 사모펀드 등 대체투자 비중이 35%(전체 금융자산에서 회원 대여금 제외)에 달해 위험 자산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은 감점 요인으로 지적됐다. 공제회 심사위원인 이성동 전 행정공제회 기금이사는 “교직원뿐만 아니라 공제회 대부분이 안고 있는 공통된 문제점”이라며 “전문성이 부족한 대의원회가 최고 의사결정기구이다 보니 회원 이익에만 집착해 자산 건전성을 도외시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양호’를 받은 3개 공제회 역시 개선돼야 할 점들이 눈에 띄었다. 군인공제회는 투자위원회와 리스크관리위원회가 전원 내부 인원으로 채워진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목됐다. 행정공제회와 관련해 심사위원들은 리스크 관리위원회를 ‘풀(pool)’로 운영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사안에 따라 6명 가운데 2명을 돌아가며 위원회에 앉히는 시스템으로 의사 결정에 일관성이 없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 밖에 경찰공제회는 최고투자책임자(CIO)가 금융 관련 경험이 많지 않다는 점이, 소방공제회는 자산운용위, 대체투자위, 리스크관리위원회 등 기능별로 독립된 의사결정 체계 없이 이사장이 위원장인 기금심의위원회가 모든 사안을 결정하는 점이 개선돼야 할 점으로 꼽혔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증권사를 대표하는 상위권 수익률의 합이 110%돌파!! 그 비결은?
[한경닷컴 스탁론] 최저금리 3.5%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한경컨센서스] 국내 증권사의 리포트를 한 곳에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