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가구주 소비
100만원당 3~5만원 줄어
[ 조진형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405/2014052677001_AA.8712594.1.jpg)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6일 ‘연령별 소비성향의 변화와 거시경제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10년간 은퇴 연령대의 평균소비성향이 두드러지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평균소비성향이란 가계의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을 뺀 것)으로 나눈 값으로 가계의 ‘씀씀이’를 보여주는 지표다. 평균소비성향이 0.75라면 실질 소득 100만원 중 75만원을 소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3년과 2013년 사이 60대의 평균소비성향은 0.78에서 0.70으로, 70대는 0.94에서 0.76으로 떨어졌다. 60대는 소득 100만원 중 8만원, 70대는 18만원을 각각 덜 썼다는 얘기다. 20대(0.75→0.74)나 30대(0.76→0.71) 40대(0.80→0.77) 50대(0.75→0.71)보다 소비를 더 줄인 것이다. 이로 인해 전체 평균소비성향은 0.78에서 0.73으로 하락했다.
오지윤 KDI 연구위원은 “은퇴 전후 연령대의 소득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며 “늘어난 기대수명에 대비해 노후 자금을 아껴 쓴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40대는 과도한 교육비 부담에 저축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평균 한국의 40대는 처분가능소득의 약 14%를 교육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40대(2.1%)의 7배 수준이다. 오 연구위원은 “중장년층의 과다한 교육비 지출은 노후 대비를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이라며 “교육비 지출이 높았던 현 30~40대가 고령층이 되는 시기에는 민간소비가 더욱 위축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도 단기적 수요진작 관점보다는 은퇴시기 연장, 과도한 사교육비 축소 등 구조적인 대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