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사용자 정보, 현재 저장할 이유도 계획도 없다"지만…
"향후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 목적 등에 사용자 동의 가이드 마련"
당장 상반기 스마트홈 상용화 예정…사회·정책적 합의 마련 시급
[ 김민성 기자 ] 스마트 폰·워치 및 TV, 냉장고 등 전자 기기가 스마트홈 촉수가 되면서 개인 사생활 침해 우려도 커졌다. '인간-가전' 뿐만 아니라 '가전-가전' 등 사물간 소통이 활발해지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어두운 그림자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원격 통제를 지시하고, 냉장고에 음식물을 채우고, 특정 명령을 내릴 때마다 그 기록이 빠짐없이 통합 서버로 전송된다. 누가 집에 있는지, 침입자는 없는지, 냉장고가 열렸는지 등의 정보를 외부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삼성스마트홈위원회 운영위원장인 홍원표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MSC) 사장은 18일 수원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에 대한 삼성 입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장이기도 한 홍 사장은 개인 정보가 빅데이터 형태로 삼성전자 서버에 저장되냐는 질문에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부분을 주요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침해 가능성이 있는 개인 정보는 저장할 수도 없고, 저장할 계획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추천을 통한 개인맞춤과 인공지능형 스마트홈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개인정보 저장 및 분석이 필요하지 않냐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에 대해 홍 사장은 "지능적 서비스를 준비하고, 고객들도 점차 지능화한 개인화 서비스를 원할 것" 이라며 "정보 보호 관련 법규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홍 사장은 이어 "스마트홈 서비스가 (법규에) 저촉되지 않도록 하겠다" 며 "이런 서비스를 앞으로 제공할 경우 서비스 이용 목적을 공개하고, 사용자 동의를 구하는 등 가이드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초기적 스마트홈 서비스는 프라이버시 문제가 없지만 향후 기술이 고도화하면 우려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사용자 이용 습관을 저장, 분석한 뒤 패턴화해 보다 인공지능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피할 수 없는 선택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자사 스마트홈 서비스의 미래로 '나를 알아보고 반응하는 집'으로 규정했다. 고객의 생활 습관이나 패턴에 따라 의미있는 가치를 제공하겠다는 것. 또 스마트홈 주요 기능을 스스로 실행하는 서비스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홍 사장은 "감성적이고 지능화된 서비스와 함께 생활 변혁을 이끌어내는 모습을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전 및 TV, 스마트폰 등 가전-모바일 기기들을 통합 플랫폼으로 연동시키는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올 상반기 출시할 계획이다.
2014년형 전략 가전제품과 스마트TV,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올 상반기 '삼성 스마트홈'을 출시한 뒤 단계적으로 스마트홈 서비스 기능과 대상품목을 확대하기로 했다. ▲ 간편한 통합 기기 제어 ▲ 장시간 집을 비울 때도 걱정없는 '홈 뷰(Home View)' ▲ 스마트한 기기관리 등의 3대 서비스를 우선 제공한다.
스마트홈·가전 등 새 기술과 시장 성장 가능성에 대한 담론과 기대는 넘친다. 반면 어떤 사용 정보를, 누가, 언제, 어떻게, 어디에, 왜 저장하고 분석하고 공개할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올 상반기 출시까지 몇 달 남지도 않았다.
스마트홈 정보 수집 주체 및 대상, 활용 범위 대한 사회적 논의를 이제라도 시작해야할 때다. 그 정보들은 스마트홈·가전을 구매하고, 실제 사용할 소비자의 사생활이다. 스마트홈 서비스가 고도화 할수록 사용자 행동 습관은 빅데이터 형태로 업체 서버에 저장·분석된 뒤 더 개인화한 서비스로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
기술 변화가 사회·정책적 합의없이 기술 주도적(Tech-Driven)으로만 움직인다면 스마트홈은 자칫 '사고뭉치'로 소비자의 외면을 받을 수도 있다. 더욱이 대한민국 소비자는 영문도 알 수 없는 수많은 해킹사고로 개인정보를 수차례 도둑맞아 본 피해자들이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KIET)은 21일 '사물인터넷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에서 사물인터넷 발달로 해킹 등 보안피해 규모가 내년 13조 4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보기술(IT)과 융합을 본격화한 각 산업 분야마다 새로운 개인정보 유출 및 해킹 등을 막을 수 있는 '융합보안'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2030년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26조 7000억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같은 새로운 유형의 보안 사고를 막기 위한 근본적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는게 이 보고서의 핵심이었다.
한경닷컴 김민성 기자 mean@hankyung.com 트위터 @mean_Ray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