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정락 / 김보형 기자 ] 지난해 전국 땅값이 평균 3.64% 오르며 5년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땅값 상승으로 토지 소유자들의 부동산 보유세 부담도 다소 늘어날 전망이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402/2014022077861_AA.8389716.1.jpg)
올해 표준지 공시가격 상승률은 3.64%로 작년(2.7%)보다 1%포인트가량 높아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전국 평균 공시가격이 1.4% 하락한 이래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이다. 유병권 국토부 토지정책관은 “부동산시장 회복세와 세종시, 혁신도시를 비롯한 전국의 대규모 신도시 건설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세종시가 18.12%로 가장 많이 올랐고 울산(9.71%)과 경남(6.86%) 등도 상승폭이 컸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3.11%,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시·군은 5.33% 올랐다. 혁신도시는 평균 11.16% 상승했고 도청 이전지(경북·충남)는 4.55% 올랐다. 올해 공시지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토지 소유자들의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안정락/김보형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