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서 새는 개인정보
브로커가 말하는 유출실태
구글 등 올리면 구매자 줄서
용도따라 정보 재가공 판매
< '미터치디비' : 거래 한 번도 안된 정보 >
[ 김일규 기자 ]
개인정보 매매 브로커들은 텔레마케팅(TM·전화영업)센터와 이동통신사 등 각 회사 대리점에서 빼낸 개인정보를 수요자 요구에 따라 다시 나이, 거주 지역, 직업 등 여러 종류의 ‘디비(개인정보)’로 나눠 판매한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이 25~26일 인터넷, 전화 등을 통해 접촉한 전·현직 브로커·대출모집인 10여명의 말을 종합해 일문일답으로 재구성했다.
▷어떻게 브로커 일을 하게 됐나.
“금융사가 대출모집 위탁을 한 회사에서 일을 시작했다. 이 바닥에서 일을 하면 고객 명단을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개인정보는 어떻게 확보하는가.
“처음에는 발로 뛴다. 나는 한국전력 현대자동차 등 큰 회사 주차장을 노렸다. 차 유리에 붙어 있는 개인 휴대폰번호 수백 개를 구할 수 있었다. 하루는 한전 주차장에서 300여개의 전화번호를 모아 대출 권유 문자를 뿌렸다가 다음날 4700만원짜리 대출계약을 한 적도 있다.”
▷그런데 왜 브로커로 전업했나.
“발로 뛰는 것도 하루 이틀이다. 점점 더 많은 데이터베이스(DB)를 얻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아예 돈을 주고 사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대출 모집보다 개인정보를 사고파는 게 더 돈이 된다는 걸 알게 됐다.”
▷브로커들은 어디서 정보를 받나.
“정보가 많이 모이는 TM센터, 채권추심업체, 이동통신 대리점 등이 주된 공략 대상이다. 이들 업체에 단기간 슬쩍 취업해 영업용으로 받은 개인정보를 가지고 나오기도 한다. 나도 한 TM센터에서 3개월 정도 일하면서 근무 외 시간에 몰래 고객 정보를 들고 나온 적이 있다.”
▷수집한 정보를 어떻게 되파나.
“주로 구글 등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해 개인정보를 사고 싶어하는 사람을 찾는다. 여러 경로로 입수한 정보들을 합쳐 이들이 원하는 정보로 재가공한다. 거래가 한 번도 이뤄지지 않은 ‘미터치디비’, 여러 번 팔려서 닳고 닳은 ‘막디비’ 등으로 나뉜다. 싱싱한 디비는 건당 최대 500원 정도다.”
▷정보 구매자들은 이를 어떻게 이용하나.
“대출 신청을 했다가 거절된 사람들의 정보를 모은 것을 ‘부결디비’라고 한다. 광고대행업체를 이용해 ‘부결디비’ 리스트에 있는 사람들에게 대출 권유 문자를 수만건 발송한다. 그럼 미끼를 ‘무는’ 사람이 반드시 나온다. 문자 한 건당 10원 정도 든다. ‘내구재디비’라는 것도 있다. 휴대폰 등을 담보로 대출해주는 데 쓰인다. 보이스피싱 조직들은 직접 전화로 접촉한다.”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방법은 없는지.
“‘디비’ 거래가 이뤄지는 인터넷 사이트를 집중 단속하면 브로커와 불법 사금융업자 간 접촉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광고대행업체가 대량으로 보내는 문자를 모니터링해도 효과가 있다. 비정규직이 대부분인 TM센터 직원의 통제를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TM센터 위장 취업자가 연간 수백명은 된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