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이 30일(현지시간) 현행 경기 부양책을 유지하기로 한 것은 예산 처리나 부채 한도 재조정에 대한 정치권발 불확실성을 감안한 결정으로, 시장이나 전문가들이 예견했던 대로다.
게다가 최근 나오는 각종 고용·경기 지표도 Fed 기대치를 밑돌고 있다.
그러나 양적완화(QE) 유지 결정에 따른 시장의 안도감은 길게 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애초 9월이나 이달 테이퍼링(tapering·자산 매입 축소)이 개시될 것으로 보고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의 금융 시장이 그 충격을 최소화하고자 대비해왔기 때문에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불안감만 커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Fed가 내년 3월께 출구 전략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사사건건 대립각을 세우는 미국 정치권 상황이나 확연하게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경제 사정을 고려하면 이 또한 불투명한 실정이다.
미국 연방정부는 정치권의 2014회계연도 잠정예산안 처리 실패로 이달 1일부터 16일간 셧다운(부분 업무정지)되는 사태를 빚었다.
더욱이 법정 국가 부채 상한이 한계점에 도달하면서 미국이 사상 초유의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도 한껏 커졌었다.
막판 타협이 이뤄져 파국을 모면하기는 했지만 이로 인해 미국 경제가 엄청난 피해를 보고 국가 신뢰도나 신용도에도 크게 금이 간 게 사실이다.
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게 아니라 땜질 처방을 한 상태여서 연준이 현 시점에서는 섣불리 양적완화 조치를 축소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인플레 부담을 우려해 경기 부양책에 반대해온 연준 내 '매파'조차 이달 테이퍼링 착수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었다.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도 언제 테이퍼링에 돌입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간표는 제시되지 않았다.
벤 버냉키 의장은 9월 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연내 축소 개시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그는 "정해진 시간표는 없지만, 연준 예상대로라면 연내 움직일 수 있다. 향후 FOMC 회의에서 경제 지표가 연준의 전망대로 가는지 지켜보고 나서 조처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서는 버냉키 의장의 기자회견조차 없어 출구 전략 돌입 시점을 더더욱 점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경제 부문 안팎에서 커지는 이런 불확실성을 반영하듯 뉴욕 증시는 이날 개장 초반에 양적완화 유지 기대에 상승세로 출발했으나 Fed가 정작 이를 결정하자 급락세로 돌아섰다.
한편 버냉키 현 의장은 내년 1월 31일 임기 종료 전까지 이달과 12월, 그리고 내년 1월 FOMC 회의를 주재한다.
그 이후에는 이 경기 부양 프로그램의 설계자이자 Fed의 새 사령탑으로 지명된 재닛 옐런 부의장이 의사봉을 잡는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강연회] 2013 제 5회 한경 가치투자 대강연회 (11/13 여의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