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택시 서비스 우버, 현대차와도 협력 모색
#.갑자기 결정한 파리 여행이라 묵을 곳을 예약하지 못했다.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에어비앤비(Airbnb) 홈페이지에 들어가 지역명과 숙박기간을 입력하자, 생마르탱 운하 근처의 숙박지 31곳 리스트가 떴다. 그중 위치도 좋고 깔끔해 보이는 한 가정집을 고른 뒤 집 주인 소개와 내부 사진, 이용후기까지 꼼꼼히 살펴본 후 결제했고 그걸로 예약 끝이다.
#.이제 숙박지까지 가야 하는 게 고민이다. 짐은 많은데 비가 오고 목도 마르다. 하지만 걱정없다. 휴대폰을 꺼내 우버(Uber)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를 예약한다. 5분 만에 도착한 택시엔 마실 물도 있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310/2013102802421_01.7984531.1.jpg)
KOTRA가 최근 개최한 미 샌프란시스코 무역·투자 협력 설명회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앨런 창 에어비앤비 동북아본부장과 라이언 그레이브스 우버 글로벌사업 총괄을 만났다. 창 본부장은 “에어비앤비는 전 세계 하루 이용자가 10만명으로 매년 성장률이 300%를 넘는다”고 말했다. 그는 “온라인에서 만난 호스트(주인)와 게스트(손님)가 오프라인에서 교감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전했다.
2008년 설립된 에어비앤비는 5년째인 지난해 매출 1조원을 달성했다. 현재 에어비앤비엔 전 세계 192개국 35만개 숙박지가 올라와 있다. 에어비앤비의 ‘집 공유’ 사업에서의 핵심은 신뢰다.
에어비앤비는 직접 공급자의 집을 찾아 시설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어 홈페이지에 올린다. 수요자가 에어비앤비에 숙박비를 지불하고 24시간을 지내면 그 뒤 3%의 수수료를 떼고 공급자에게 돈을 지급한다.
에어비앤비는 올 1월 한국에 진출했고 서울에만 2000곳의 숙박 리스트를 갖고 있다. 창 본부장은 “2018년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도 있고 숙박 수요는 급증할텐데 호텔만으론 한계가 있다”며 “아시아에서도 한국은 큰 시장”이라고 말했다.
에어비앤비가 ‘머물 곳’을 서비스한다면, 우버는 ‘탈 것’을 공유한다. 그레이브스 총괄은 우버를 일종의 ‘개인기사 서비스’라고 소개했다. 그는 “2010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신속성과 정확성이 떨어져 콜택시 서비스의 70% 정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전했다. 승객에겐 효용성을, 기사들에겐 차량 운영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동시에 제공한 것이다. 고급 리무진이나 방탄차, 아이스크림 트럭 등 선택 옵션도 다양하다.
그레이브스 총괄은 “19개국 50개 도시에 진출해 있는데 최근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올 들어 구글의 벤처캐피털인 구글벤처스도 비즈니스 가치를 보고 우버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그레이브스 총괄은 최근 현대차와도 만남을 가졌다. 그는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우버의 차들이 거의 에쿠스”라며 “어떤 협력 사업에 대한 대화를 나눴는지는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