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파견이냐 아니냐는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협력업체 사장들이 자기 직원이라는데도, 해당 근로자들이 원청업체 직원과 하는 일이 똑같다며 정규직으로 채용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친다. 하도급과 파견은 법적으로야 엄연히 다르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구분하기 어렵다. 일관 생산공정이 요구되는 자동차, 같은 매장에서 일하는 유통업체는 특히 그렇다. 이렇다 보니 통일된 업무 매뉴얼 사용, 원청업체의 교육·기술 지도, 심지어 인센티브 지급까지 꼬투리를 잡을 거리가 한둘이 아니다. 노동단체와 정당이 개입해 분란을 일으키고, 많은 기업은 법정으로 끌려가 큰 탈이 생길까봐 조마조마하게 판결을 기다린다.
결국 고용 유연성의 문제다. 하도급도 파견도 모두 정규직 경직성을 보완하기 위한 고육지책일 뿐이다. 그것도 제조업은 파견 근로가 금지돼 있다.
일본은 이미 제조업 파견근로를 허용하고 있는 데 이어 경제살리기 차원에서 무기한 파견근로 등 전면적인 규제완화를 추진 중이다. 우리도 이제는 논란을 끝내야 한다.
관련기사
<li>다른 男과 성관계한 아내 속옷 봤더니… </li>
<li>한혜진, 기성용과 결혼한 지 3개월 만에…</li>
<li>女 "나 숫처녀야" 고백에 예비신랑 반응이</li>
<li>女직원, 추석 때 출근했더니 부장이…충격</li>
<li>조영남, 청담동 자택서 3명의 女와…발칵</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