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의 경쟁력은 여태껏 시장을 열어 망한 분야가 없다는 또 하나의 강력한 증거다. 밀려드는 외국산 소고기에 맞서 한우의 맛과 품질을 높이고 철저한 위생관리로 신뢰를 쌓은 결과다. 오히려 시장을 개방한 이후 되살아난 사례가 더 많다. 스크린쿼터를 축소하면 고사될 것이라던 한국 영화는 지금 연간 1억명 관객이 보면서 제2 전성기를 구가 중이다. 일제 코끼리밥솥에 밀려 대기업들조차 포기했던 밥솥시장은 쿠쿠 리첸 같은 국내 중소기업이 평정했다. 빈폴이 폴로를 앞지르고, 롯데리아가 맥도날드를 제치고, 이마트가 월마트 까르푸를 밀어낸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물론 농업 분야는 아직도 수시로 파동이요, 가격 변동에 일희일비하며, 정부는 단기 수급대책에 급급한 게 현실이다. 지난 10년간 농업에 119조원을 투입했어도 뭐가 달라졌는지 의문이다. 고비용 구조를 온존시킨 채 농업 문제를 정치적으로 접근한 탓이다. 농업을 성역으로 삼는 한 10년, 20년이 지나도 달라질 게 없다. 박근혜 정부는 농업을 2·3차 산업과 융합한 ‘6차 산업화’를 내걸었지만 자본의 투입을 봉쇄하고 보조금에 의존하는 구조를 고치지 않고선 요원하다.
그럼에도 여전히 농업은 ‘개방하면 다 죽는다’는 낡은 도그마에 사로잡혀 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만 해도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13억명의 먹거리 시장이 새로 열린다. 농업의 진짜 문제는 시장 개방이 아니라 상상력 부족이다. 선진국치고 농업 강국이 아닌 나라가 없다.
우리라고 못할 이유가 전혀 없다. 한우의 성공사례가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지 않은가.
관련기사
<li>나훈아, 2년간 이혼 소송에서 끝내…</li>
<li>조영남, 청담동 자택서 3명의 女와…발칵</li>
<li>미혼女 "성경험 많은 남자와 결혼하면…"</li>
<li>비, 김태희 100억 빌라 소식 듣고 갑자기…</li>
<li>'대세女' 클라라, 잘 나가다 갑자기 '날벼락'</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