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9/2013091575831_AA.7848645.1.jpg)
클라우드 컴퓨팅은 모든 업종에서 주목받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도입하면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어서다. 하지만 지난 2년간 범정부 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은 더딘 편이다. 클라우드 사업의 수요기반이 미약하고 외국산 솔루션 비중이 70%를 넘을 정도로 글로벌 기업들이 국내 시장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기술(IT) 관리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해 기업의 중요 데이터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며 도입을 꺼리기도 한다. 특히 공공부문이 열리지 않고서는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육성과 발전은 어렵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와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첫째, 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를 신뢰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 가이드라인과 인증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막연한 보안 우려로 공공기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기보다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체계와 클라우드 기반 공공기관 정보시스템·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한 공공부문의 다양한 시범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교육 국방 중소기업지원 분야에서 클라우드 도입 및 추진을 하고는 있으나, 민간 클라우드 활용이 아닌 자체 구축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먼저 공공기관들의 행정, 협업 등 공통 업무에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해 안전성을 검증함으로써 데이터 유출 우려를 해소해야 한다.
셋째, 공공기관에서 정보시스템·서비스를 도입하거나 국책과제 수행 시 민간 클라우드 사용을 우선 검토하도록 의무화 해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의 클라우드 도입과 확산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국가 예산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 모바일을 통한 대국민 접점을 확대할 수 있어 교육 복지 안전 등 분야에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송정희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장
관련기사
<li>나훈아, 2년간 이혼 소송에서 끝내…</li>
<li>조영남, 청담동 자택서 3명의 女와…발칵</li>
<li>미혼女 "성경험 많은 남자와 결혼하면…"</li>
<li>비, 김태희 100억 빌라 소식 듣고 갑자기…</li>
<li>'대세女' 클라라, 잘 나가다 갑자기 '날벼락'</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