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부터 들어가는 MRI…환자 공포감 줄여
조영제 없이도 혈류검사 가능한 MR터치 기술도 개발
GE헬스케어는 뛰어난 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 더욱 건강한 세상을 만들겠다는 의미의 ‘헬시매지네이션(Healthymagination)’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선명한 화질과 빠른 촬영을 통해 영상 진단 분야의 기능을 강화하고 환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한 의료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전엔 사용자 위주의 장비 개발에 그쳤지만 지금은 환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진단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적극 선보이고 있는 것. 이뿐만 아니다. 환자와 가까운 지역과 중소병원에 혁신 기술을 보급,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고해상도+낮은 방사선, 두 마리 토끼 잡는 CT
![](http://www.hankyung.com/photo/201308/2013082845481_AA.7781874.1.jpg)
지난해엔 국내에 처음으로 디스커버리 CT750HD에 탑재되는 심장 CT 솔루션인 ‘프리덤 기술’을 도입했다. 프리덤은 보다 빠르고 정밀한 기술로 관상동맥의 움직임, 높은 심박수 등 정확한 심장 촬영을 방해했던 요소를 극복했다. 이로써 진단장비의 촬영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박동하는 심장으로 인해 주변의 가는 혈관을 정확하게 촬영하는 게 어려웠던 것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조용하고 따뜻한 MRI
![](http://www.hankyung.com/photo/201308/2013082845481_AA.7781875.1.jpg)
조직 검사나 조영제(MRI나 CT 촬영과 같은 방사선 검사 시 조직이나 혈관을 잘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약품) 주입 등 환자에게 불편한 과정을 줄여주는 기술도 개발됐다. 디스커버리 MR750W에 적용되는 GE헬스케어의 임상 애플리케이션 ‘니들 프리(Needle Free·주사 바늘의 사용을 줄임)’ 솔루션은 조영제 사용 없이도 정확한 혈류 검사를 가능하게 해 환자의 고통과 부담을 최소화한다.
◆환자 편의 고려한 관절용 MRI 개발
‘옵티마 MR430s’는 환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관절용 MRI 장비다. 기존 MRI 기기는 터널같이 생긴 공간에서 장시간 꼼짝 않고 있어야 하지만 이 기기는 팔이나 다리 등 특정 신체부위만 촬영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때문에 폐쇄공포증이 있거나 고도비만 혹은 손이 심하게 뒤틀린 류머티즘 환자도 무리 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팔꿈치, 발목, 무릎 등 팔과 다리 일부를 이 기기로 진단받을 수 있다. GE헬스케어 측은 “전신 MRI와 별도로 운용하게 될 경우 환자들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설치 공간도 30% 이상 줄일 수 있다”며 “이 같은 장점 덕분에 규모가 작은 중소병원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준혁/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은행이자보다 3배 수익으로 알려진 호텔식 별장]
박진영, 美서 '적자'나더니 99억을…충격
女배우, 알몸으로 '성인영화' 촬영하다 그만
승리 '19금 스캔들' 추궁하자 결국…폭탄고백
미혼女에 '혼전 성관계' 묻자 대답이…반전
류시원 아내에게 친형이 무섭게 내민 칼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