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난달 아파트 거래 5분의 1 토막
![](http://www.hankyung.com/photo/201307/2013073145921_AA.7702932.1.jpg)
![](http://www.hankyung.com/photo/201307/2013073145921_AA.7702931.1.jpg)
주택업계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이명박 정부 때 보였던 ‘실속 없는 대책 쏟아내기’와 ‘국회의 무책임한 발목잡기’ 등의 ‘고질병’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명박 정부는 평균 두 달에 한 번꼴로 27차례에 걸쳐 부동산대책을 쏟아내는 바람에 ‘부동산대책 정부’라는 소리까지 들었다. 많은 대책이 나왔지만 핵심 정책은 번번이 국회에서 제동이 걸렸고, 결국 정부 대책은 정책 불신만 키운 꼴이 됐다.
6월 말 취득세 감면 종료 후 시장은 거래절벽 상태에 빠졌다.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하루 평균 57건으로 6월(301건)의 5분의 1 수준이다.
이에 국토부는 최근 ‘4·1대책 세부 실행방안’이란 후속대책을 내놨다. 부동산 활성화와 관련된 법안이 줄줄이 국회에 묶여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또 7월 초 지방세인 취득세의 영구 인하 방침을 밝혔다. 이후 세수 부족을 우려한 지방자치단체가 강력히 반발하는 등 어수선한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여당은 뚜렷한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은 또 “종합재산세를 도입, 고액자산가들에 대한 증세로 취득세 인하에 따른 지방세 부족을 메우겠다”고 나서면서 정부·여당의 세금정책 방향이 갈피를 못 잡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새 정부 부동산대책의 실효성 부족과 입법화 실패로 인해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책 발표와 실행 시점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고 당·정·지자체 간 의견 대립이 격화되면 시장의 신뢰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보형/김진수 기자 kph21c@hankyung.com
▶[화제]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스토리텔링 수학 지도사 민간자격증 수여 !]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단발성 정책 남발하던 MB정부 '데자뷔'…핵심 법안은 낮잠
▶ "분양가 상한제 탄력적용 등 파급력 있는 정책 시행해야"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