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윤선 국제부 기자 inklings@hankyung.com
동유럽 각국이 최근 잇따라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내놨다. 유럽 내에서 독일을 중심으로 한 ‘비(非)원전파’와 프랑스가 주도하는 ‘원전파’ 중 프랑스 모델을 따라가기로 한 것이다. 2020년까지 체코가 3기, 폴란드와 헝가리가 각각 2기를 지을 예정이다. 신규 건설 외에도 꽤 많은 노후 원전 재개발 수요가 있다.
최근 원전을 추진하는 한 동유럽 국가 대사를 만났다. 그에게 한국 원전의 동유럽 수출 가능성을 물었다. “물론 한국도 충분히 가능하다” 정도의 ‘덕담’을 기대했다. 돌아온 대답은 딴판이었다. “힘들 것”이라고 했다.
그는 “원전 부품 납품 비리와 관련한 한국 기사를 봤다”며 “원전의 생명은 안전인데, 안전성이 의심되는 부품이 포함돼 있을지도 모르는 발전소를 지을 수는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어 “이런 소문이 가라앉으려면 1~2년 이상은 걸릴 것”이라고 했다. 그의 말대로라면 동유럽의 주요 원전 발주는 물 건너갔을 가능성이 높다. 원전 비리 문제가 단순히 한국 내 전력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는 것이 실감나는 순간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동유럽 원전의 규모는 기당 100만~150만㎾급이다. 7개를 다 합하면 1000만㎾에 육박한다. 한국이 2009년 200억달러에 수주한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이 총 560만㎾급이었던 걸 감안하면 수백억달러에 달하는 원전 수주가 어려워진 것이다.
우리 정부의 대책도 미온적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언론이 이렇게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만들어놓은 걸 어떻게 하겠느냐”며 “올해 한국전력이 폴란드에 한 번 다녀오긴 했지만, 원전 비리 사건을 무마하기 위한 별도의 동유럽 방문 계획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그 와중에 경쟁국인 일본의 움직임은 무서울 정도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5월 직접 폴란드를 방문해 동유럽 4개국 정상들에게 ‘원전 세일즈’를 했다. 귀국 후에는 바로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재작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중단된 양국 간 원자력 협정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터키 원전도 일본이 가져갔다.
원전은 한번 뺏기면 향후 10~20년간 사업 기회가 사라진다. 수백억달러의 수출과 그에 따른 일자리를 일본에 고스란히 뺏길 위기인데도 정부는 말이 없다.
남윤선 국제부 기자 inklings@hankyung.com
▶ [단독] "착륙사고 후 女승무원이 통로에서…"
▶ "기성용, 늙은 여자랑…" 한혜진 막말 듣고 결국
▶ 강남 유흥가 女, 족발집 모여 들더니…깜짝
▶ 개그우먼 남편, 바람 피면서 '10억' 빼돌리더니
▶ 20대女, 콘돔 기피 남친과 여름휴가 갔다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