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306/2013061273861_AA.7543353.1.jpg)
권영덕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2일 ‘아파트 리모델링 활성화 조치에 따른 서울시 정책과제와 개선방안’이란 제목의 정책리포트에서 “아파트 리모델링으로 가구 수가 늘어나면 주차장 기준을 강화하는 등 주거환경 악화를 막을 대책도 필요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권 선임연구위원은 “대형 평형이어서 한 주택을 주인 거주용과 소형 임대용 등 두 가구로 나눠도 좋을 단지와 이미 용적률이 너무 높아 가구 수 증가를 조절해야 할 단지를 차등화해 리모델링 정책에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선임연구위원은 수직·수평 증축 등을 통해 가구 수가 증가하는 데다 ‘멀티홈’ 개념의 보편화로 가구 수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증축은 별도의 주택을 더 만드는 것이지만 멀티홈은 일종의 ‘세대분리형 주택’ 혹은 ‘부분 주택’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방3개와 욕실 2개가 있는 아파트를 리모델링 공사로 방 1개와 욕실 1개를 별도의 소형주택(전용 15㎡)으로 분리해 임대주택으로 사용하는 개념이다.
권 선임연구위원은 “과거 대형주택을 지향하며 추진했던 증축형 리모델링은 고비용 구조였다”며 “앞으로 가구당 사업비 부담을 줄이고 도심에서 소형 및 임대주택 공급량을 늘리려면 멀티홈 개념이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임차가구 증가에 따른 단지 과밀화와 ‘닭장 집’의 대량 양산을 막기 위해선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이상에만 멀티홈을 도입하도록 하거나, 주차장 확보 기준을 가구당 1.2대로 강화하는 식의 대책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배우 임영규, 165억 날리더니 '막장 생활?'
▶ 부유층 男, 스포츠카 끌고 해운대 가서…경악
▶ 도경완, 장윤정에 '계획적 접근' 소문나자…
▶ '한혜진 교회' 가보니…배우들 이런 일도 해?
▶ 女직원들, 짧은 치마입고 아침마다…'민망'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