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충민·김광선 연구원
냄새가 세균 간의 중요한 대화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류충민 슈퍼박테리아연구센터 책임연구원(사진), 김광선 선임연구원 등이 특정 세균의 냄새(휘발성물질)가 다른 세균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세균 간 생리적 반응은 직접 접촉으로 일어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지만 연구진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황에서도 냄새를 통해 다른 세균에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된장냄새가 나는 고초균과 대장균을 이용해 이번 연구를 입증했다. 배양 배지 중간을 막은 후 한쪽에는 고초균을, 다른 쪽에는 대장균을 배양하며 변화를 관찰한 것. 냄새를 풍긴 지 6시간 만에 대장균 유전자 160개의 발현이 급격하게 변화했고, 그중 운동성 관련 유전자와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가 냄새에 특이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 박사는 “앞으로 세균 내 항생제 내성 조절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슈퍼박테리아 감염 해결 방안을 찾는 연구에 응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 미래부, 사람과 실시간 대화 SW에 1070억 투자
▶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 본격화…포스텍서 기공식 가져
▶ 美,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 첫 성공…치매 등 난치병 '맞춤형 치료'에 청신호
▶ 울산과기대, 태양전지 에너지 전환율 20% 개선
▶ 한국은 '황우석 트라우마'에 발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