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TV 제어…소프트리모컨 서비스도
SKB·CJ헬로비전 등 TV 서비스 경쟁 박차
![](http://www.hankyung.com/photo/201305/2013052866751_AA.7495765.1.jpg)
서울 논현동에 사는 직장인 조재현 씨(34)는 요즘 TV로 야구 경기를 보는 재미에 푹 빠졌다. ‘4채널 서비스’를 통해 자신이 응원하는 LG 트윈스 경기를 포함해 다른 팀의 경기를 최대 네 개까지 한 화면으로 볼 수 있어서다. 다른 팀의 경기 성적을 확인하기 위해 자주 채널을 돌릴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유료방송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통신 3사가 운영하는 인터넷TV(IPTV)는 물론 CJ헬로비전 등 케이블TV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가입자를 빼앗기 위해 앞다퉈 새로운 스마트TV 서비스를 개발해 내놓고 있다.
○한 화면에서 네 개 채널을 동시에
LG유플러스는 2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의 IPTV 서비스 유플러스tv G에 적용할 4채널 서비스를 시연했다. 가입자는 지상파 스포츠 홈쇼핑 등 분야를 선택, 범주별로 같은 시간대 네 개 채널의 실시간 방송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초기 지상파(서울 지역)와 스포츠 홈쇼핑 12개 채널에 우선 적용한 뒤 영화 만화 뉴스 등으로 서비스 범주와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강현구 스마트홈사업부장은 “실시간으로 네 개 고화질(HD) 방송 채널을 화질이나 음질 손실 없이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세계 유료방송 사업자 가운데 LG유플러스가 처음”이라고 소개했다.
LG유플러스는 이와 함께 ‘소프트리모컨’ 서비스도 선보였다. 스마트폰과 연동해 스마트폰으로 IPTV를 조정할 수 있는 서비스다. IPTV 화면을 그대로 스마트폰에 구현한다. 유플러스tv G 가입자는 30일부터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소프트리모컨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가입자는 30일부터 구글플레이와 유플러스스토어에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내려받으면 된다.
○IPTV vs 케이블 경쟁 치열
![](http://www.hankyung.com/photo/201305/2013052866751_AA.7496604.1.jpg)
케이블업체들도 경쟁에 가세했다. CJ헬로비전 등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는 올해 하반기 대거 스마트케이블 서비스를 도입한다. CJ헬로비전은 올해 하반기 클라우드 스마트케이블 서비스를 내놓는다. 이어 내년 상반기 차세대 웹 표준 기술인 HTML5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스마트케이블 서비스를 선보인다. 티브로드는 올해 7월 HTML5 OS를 적용한 스마트케이블 서비스를 시작한다.
케이블업체들은 2009년 IPTV 서비스가 본격 상용화하면서 경쟁에서 밀려났다. 통신사들이 운영하고 있는 IPTV는 초고속인터넷 및 이동통신 결합상품과 주문형비디오(VOD) 등 새로운 서비스를 앞세워 케이블이 장악한 유료방송 시장을 잠식했다.
케이블업체들은 스마트케이블 서비스를 통해 반격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망 특성상 IPTV보다 상용화가 쉬운 초고화질TV(UHD TV)와 기가인터넷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UHD방송은 기존 HD방송에 비해 화질이 네 배나 선명하다. 케이블업계는 올 연말 UHD 채널을 개설해 내년 초부터 시범서비스에 나선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 삼성, PC사업 30주년 기념 한정판 출시
▶ 삼성 PC 새 브랜드 '아티브'
▶ 신종균 "노트북도 갤럭시S만큼 키워라"…'아티브북'으로 브랜드 통일
▶ TV도 진화?…호기심 마케팅
▶ 노트북 시장 줄었지만…삼성·LG전자 판매 늘어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