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노년 취약계층 줄어들지만 국민연금 재정에 부담줄 수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노년 취약계층 줄어들지만 국민연금 재정에 부담줄 수도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막 오른 정년 60세 시대 (3ㆍ끝) 이제 시작일 뿐
복지에 미치는 영향



정년 연장으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복지제도도 영향을 받게 된다. 우선 일하는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퇴직 후 국민연금(노령연금)을 받을 때까지 공백기간이 줄어든다. 근로 소득 없이 사회보장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시간이 그만큼 짧아진다는 얘기다.

현행 수급 기준에 따라 1958년생이 국민연금을 받으려면 만 62세가 돼야 한다. 민간 기업에서 만 58세에 퇴직하면 퇴직 후 4년간 소득도 없고, 연금도 못 받는 상황을 견뎌야 한다. 하지만 2016년부터 정년이 60세로 연장될 경우 2년만 버티면 연금을 받을 수 있다.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2033년까지 순차적으로 65세로 늦춰지더라도 지금보다 공백은 줄어든다. 이소정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퇴직 후 빈곤층으로 전락해 기존 복지제도의 수혜를 받아야 할 사람이 노동시장에 계속 머무를 수 있어 복지 수요가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국민연금 재정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저부담-고지급의 국민연금 구조상 은퇴가 미뤄지고 납입기간이 길어지면 재정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윤석명 보건사회연구원 연금연구센터장은 “국민연금이 구조적으로 안고 있는 재정문제가 정년보장법으로 더 커질 수 있다”며 “정년 보장은 국민연금의 재정안정화 정책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긍정적이다. 직장가입자로 남아 있는 사람이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건보 재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 그러나 젊은층 가입자가 늘지 않고, 보험료를 더 많이 내는 지역가입자로의 전환이 늦춰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재정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보건복지부는 연구용역 등을 통해 정년 연장이 각종 복지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계획이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류현진, LA서 샀다는 고급아파트 가격 '깜짝'
女앵커, 뉴스 진행중 '울컥'하더니 방송사고를
이건희 회장, '핵전쟁' 대비하려 지하 벙커를
"예쁜 女직원 데려와" 50억 자산가 고객에 쩔쩔
현아 가슴, 신동엽 얼굴에 밀착…방송사고 아냐?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실시간 관련뉴스